내수기업 620곳, 전년 대비 매출 1.9% 감소
한국경제인협회 “내수 부진 지속...수출 실적 위기감 커져”
올해 상반기 내수기업들의 매출이 전년 대비 역성장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가 13일 사업보고서 제출대상인 비금융업 법인 814곳의 경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비금융업 법인의 전체 매출액은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 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한국은행의 기준을 준용해 매출액 중 수출비중이 50% 이상인 기업을 수출기업으로, 그 미만인 기업을 내수 기업으로 분류했는데 수출기업은 194곳, 내수기업은 620곳 등이다.
전체 매출액이 증가한 것은 수출기업의 매출액이 13.6% 증가한 데 따랐다. 그 외 내수기업의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9% 감소했다. 지난 2020년에 4.2% 감소한 이후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이 감소한 것은 4년 만이다.
매출액이 줄어든 내수기업 업종은 지주회사(-17.6%), 도소매업(-6.5%),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5.5%), 제조업(-1.1%) 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한경협은 “지주회사의 매출 감소는 자회사 실적 부진에 따른 배당 축소, 도소매업의 감소는 소비 부진의 영향이 컸다”고 분석했다.
올해 상반기 수출기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13.6% 반등했으나, 매출액이 가장 큰 삼성전자를 제외하고는 5.9% 증가에 그쳤다. 올해 상반기 수출기업 매출 증가세는 지난해 매출액이 감소한 측면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올해 상반기 기업투자도 지난 2020년 이후 처음으로 8.3% 감소했다. 전체 기업 투자 증가율은 지난 2020년 16.9%에서 2022년 9.5%로 낮아졌다가 지난해 15.7% 반등했다. 다만 올해 다시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세계 경기 위축과 반도체 등 주력업종 하락 사이클 진입 등으로 지금의 수출 실적이 정점이 아니냐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며 “가계 소비와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유연한 통화 정책, 투자 지원 확대, 규제 완화 등의 전방위적인 경제살리기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지평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