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하나로마트 양재점. 사진=연합뉴스
농협하나로마트 양재점. 사진=연합뉴스

농협의 양대 유통 조직인 농협유통과 농협하나로유통이 수익성 악화로 지난 2023년 600억원에 달하는 순손실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이 농협중앙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협유통의 매출은 2019년 1조6488억900만원에서 작년 1조3580억8천800만원으로 18% 감소했다.

농협유통은 지난 2021년만 해도 27억8800만원의 당기순이익을 냈지만 2022년부터는 적자로 전환했다. 농협유통은 2022년 183억2600만원의 순손실을 냈으며, 지난해 순손실 규모는 287억6800만원으로 더 커졌다.

뿐만 아니다. 농협하나로유통 매출은 2019년 3조1195억3200만원에서 작년 1조2915억3300만원으로 59% 급감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손실은 18억2400만원에서 309억5900만원으로 17배로 커졌다.

사실상 농협유통과 농협하나로유통의 지난해 순손실은 600억원에 육박하는 셈이다. 결국, 재정난이 심화하면서 2019년부터 작년까지 하나로마트 매장 7곳이 폐점했다.

정 의원은 “농협유통과 농협하나로유통는 매출이 줄고 적자 폭이 커지면서 농협중앙회 전체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줘 조합원 손실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면서 “농협중앙회는 농협 유통 조직의 수익성 악화와 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무 건전성 강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