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엔케이맥스 GMP 시설 내부 모습. 사진=엔케이맥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엔케이맥스 GMP 시설 내부 모습. 사진=엔케이맥스

코스닥 상장사 엔케이맥스가 설립 22년여만에 기업회생신청에 돌입했다. NK세포 연구개발 전문 바이오기업으로, 2021년 11월 한때 시가총액 1조원을 돌파한 바 있지만 거래정지 직전인 지난달 25일 종가 기준 1727억원 수준으로 쪼그라들며 주식시장에서도 어려운 회사 상황을 대변했다. 최근 3년간 영업손실만 1579억원에 이른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엔케이맥스는 “17일자 이사회에서 경영정상화 및 향후 계속기업으로서의 가치보전을 위해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향후 대책으로 “기업회생절차와 관련해 사건번호 및 결정 내용이 확인되는대로 공시하겠다”고 덧붙였다.

회생 절차 후 스토킹 호스 비드를 통해 대주주 교체 작업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스토킹호스비드 방식은 인수합병(M&A) 공고 전 적정한 조건으로 인수희망자에게 미리 조건부 인수계약을 체결한 후 공개입찰을 실시해, 공고 전 인수희망자와 공고 후 인수희망자를 경쟁시켜 최종 인수자로 확정하는 기업 매각 방식이다.

이 방식은 M&A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통상적인 매각 절차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인수 방식 실무에서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KB증권을 비롯한 여러 증권가 애널리스트는 올해를 계기로 바이오에 대한 투자 심리가 살아날 것으로 전망했지만,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가 차츰 늦어지고, 안전자산 보유 심리가 지속되며 바이오 섹터에 대한 투자 심리는 과거 국내 증시를 주도할 때처럼 회복되기 어려운 양상이다. 이에 엔케이맥스의 성공적인 회생도 불투명하다는 게 금융투자업계 시각이다.

◆ 최근 3년간 영업손실 심화…유증 자금 유치도 실패

엔케이맥스는 2002년 1월에 설립된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기업이다. 에이티젠 관계사로 설립된 데 이어 2019년 2월 에이티젠에게 최종 인수합병되면서 사명을‘엔케이맥스’로 변경하고 NK세포 연구 개발 전문 바이오기업으로 사업을 영위했다.

최근 3년간 1579억원에 이르는 영업손실을 내고, 중국 쇼우캉그룹(Shoukang Group)으로부터 유치하기로 한 690억원의 유상증자마저 물건너가면서 이같은 수순을 밟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3년간 연결 기준 매출은 ▲2021년 130억2025만2251원 ▲2022년 112억6268만9377원 ▲107억6916만1479원 등 꾸준히 100억원대를 유지했지만 감소세를 보였다.

타 중소 바이오기업들의 어려움과 마찬가지로, 엔케이맥스는 임상실험 관련 투자 등으로 막대한 영업손실 이어가며 ▲2021년 474억4042만6375원 ▲2022년 496억5304만7361원 ▲지난해 608억2906만3838원 등 최근 3년간 영업손실이 총 1579억원을 넘어서는 등 매년 적자가 심화됐다. 

앞서 중국 쇼우캉그룹은 엔케이맥스가 추진하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하고 2023년 10월 23일 1000만달러(약138억원) 규모의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 3일 전인 2023년 10월 20일 이사회에서 최초로 결의했다. 이후 2023년 12월 18일, 2024년 02월 20일 이사회에서 납입일 관련하여 변경된 내용을 결의한 바 있다.

◆ 박상우 대표 반대매매…최대주주 공백

하지만 최대주주였던 박상우 대표의 지분 12.94%가 반대매매로 시장에 출회되며, 1월부터 최대주주 공백이 발생했고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등 사유로 기존 투자 조건대로 투자가 이뤄지는 데에 대한 투자 상대방과의 의견 불합치가 발생했다. 이에 투자자의 투자의사가 철회되며 해당 유상증자 결정을 철회한 것이다.

엔케이맥스는 1000만달러 규모 유상증자 외에도 추후 4000만달러(552억원)투자 유치 및 합작투자법인 설립 등도 추진한 바 있다. 이마저도 함께 무산되며 총 69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가 최종적으로 무산됐다.

앞으로 엔케이맥스는 새 최대주주 확보가 시급한 상황으로 보인다. 스토킹 호스를 거쳐 지분과 경영권에 대한 경매에 돌입한다. 스토킹 호스를 통해 투자자가 나오지 않으면 법정관리에 돌입할 예정이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