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상당수의 의대 교수들도 사실상의 ‘파업’에 동참했다.

의대 교수들의 집단사직 움직임이 커지고 있는 15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 관계자가 교수연구동으로 향하고 있다. 전국 19개 의대 교수들은 지난 12일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한 뒤 이날까지 사직서 제출 여부에 대한 논의를 마치기로 했다. 사진=연합뉴스
의대 교수들의 집단사직 움직임이 커지고 있는 15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 관계자가 교수연구동으로 향하고 있다. 전국 19개 의대 교수들은 지난 12일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한 뒤 이날까지 사직서 제출 여부에 대한 논의를 마치기로 했다. 사진=연합뉴스

수도권 ‘빅5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두는 의대 중 3곳의 교수들이 집단 사직을 결의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 가톨릭대, 울산대 등 세 곳의 의대 교수협의회는 집단 사직서 제출을 결의했다. 이들은 모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등 빅5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두고 있다.

의대 3곳 교수들 모두 사직서 제출을 실행에 옮기지는 않았으나, 전공의들이 면허정지 등으로 피해를 볼 경우 언제든 행동에 옮길 수 있다는 입장이다.

뿐만 아니다. 서울의대를 비롯한 의대 교수들은 정부가 사태 해결 방안을 내놓지 않으면 사직서를 제출하겠다고 예고했고, 19개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 밤 사직서 제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전국 19개 의대 교수들이 참가하는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날 밤 2차 총회를 열고 대학별 사직서 제출 여부 등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19개 의대는 서울대·연세대·울산대·가톨릭대·제주대·원광대·인제대·한림대·아주대·단국대·경상대·충북대·한양대·대구가톨릭대·부산대·충남대·건국대·강원대·계명대다.

의대 교수들은 “환자를 지켜야 하는 데 동의한다면서도 제자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비대위는 “우리의 목표는 의대생과 수련병원 전공의가 무사히 복귀해 교육과 수련을 마치는 것”이라며 “15일까지 각 대학의 교수 사직서 제출에 대해 소속 대학 교수와 수련병원 임상진료 교수의 의사를 물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도 지난 12일 입장문을 통해 “정부는 학생의 휴학과 유급을 촉발해 의대 교육 체계마저 붕괴시키고 있다”며 “전공의와 학생이 중대한 피해를 입고 교육 현장이 붕괴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면 교수로서의 사명은 더 이상 없다”고 경고했다.

◆정부  ‘강경 대응 기조’는 변함이 없다.

의대 증원을 둘러싸고 의정 간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15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공공의료 기관인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의료원을 찾아 응급실을 둘러본 후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의대 증원을 둘러싸고 의정 간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15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공공의료 기관인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의료원을 찾아 응급실을 둘러본 후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반면, 정부의 ‘의사 집단 행동’에 대한 ‘강경 대응 기조’는 변함이 없다.

이날 현재 정부는 의대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사전 통지를 하는 등 관련 절차를 진행 중이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병원과 학교로 돌아오도록 설득해야 할 교수님들이 환자를 떠나 집단행동을 하는 것은 국민이 이해할 수 없을 것”이라며 “진심으로 전공의와 학생을 걱정한다면 환자 곁으로, 배움의 장소로 돌아오도록 설득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전공의 집단 이탈과 의대 교수까지 집단 사직 우려가 커지면서 비상응급의료체계 강화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우선 15일부터 ‘경증환자 분산 지원사업’이 실시됐다. 이를 통해 권역응급의료센터가 경증환자를 인근 의료기관으로 신속히 전원해 치료받을 수있도록 중증도 분류 인력에 대한 정책지원급을 지급한다.

또 의료기관에 파견 중인 공중보건의사에 대한 근무 관리 방안도 논의했다. 책임보험 가입이 돼 있는 의료기관은 공보의와 군의관도 포함하도록 계약을 갱신하고, 이때 발생하는 보험료 추가분은 정부가 지원한다.

조 장관은 “의대 정원 2000명 확대는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살리고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한시라도 늦출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며 “정부는 국민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의료 개혁 과제를 오직 국민만 바라보고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