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 침체와 고물가 영향이 두드러지면서 소비자들은 가성비(가격 대비 고성능)이 높은 유통업체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의 한 이마트에 노브랜드 상품들이 진열된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경기 침체와 고물가 영향이 두드러지면서 소비자들은 가성비(가격 대비 고성능)이 높은 유통업체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의 한 이마트에 노브랜드 상품들이 진열된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경기 침체와 고물가 영향이 두드러지면서 소비자들은 가성비(가격 대비 고성능)가 높은 유통업체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닐슨아이큐(NIQ)를 통해 오프라인 소매점 약 6500곳의 2022년 4분기∼2023년 3분기 1년간의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PB는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와 협력해 생산한 뒤 자체 브랜드로 내놓으면서 마케팅·유통 비용을 줄이고 소비자 가격을 낮춘 상품이다. 이마트 노브랜드, 롯데 온리프라이스, GS25 유어스 등이 대표적이다.

조사 결과 국내 PB 상품 시장 규모는 전년(2022년) 대비 11.8% 성장했다. 같은 기간 1.9% 성장에 그친 전체 소비재 시장 성장률보다 약 6배 높다.

부문별 PB 시장 성장률은 비식품 7.4%, 식품 12.4%로 식품 부문이 전체 시장 성장을 이끌었다.

소비자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가격에 민감해진 소비자들이 품질 대비 저렴한 PB 상품 구매를 늘리고 비식품 식품 구매는 줄인 영향으로 상의는 분석했다.

전체 매출 대비 PB 비중이 가장 큰 오프라인 업태는 대형마트로 8.7%였다. 이어 기업형 슈퍼마켓(SSM) 5.3%, 편의점 4.1% 순이었다.

연간 PB 매출 증가율은 편의점이 19.3%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대형마트 10.3%, 기업형 슈퍼마켓 5.7%였다.

특히 유통사 가정간편식(HMR) PB 상품이 인기를 끌면서 대형마트·슈퍼마켓·편의점에서 모두 즉석 국·탕·찌개 매출은 PB가 일반 제조사 브랜드를 앞질렀다.

즉석 국의 경우 구색 수가 적은 편의점에서는 PB 매출 비중이 82.2%에 이르렀다. 대형마트와 슈퍼마켓에서도 각각 69.1%, 51.9%에 달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한국 전체 소비재시장에서 PB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로 부문별로는 식품과 비식품이 각각 3.9%, 4.6%로 나타났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유럽의 경우 경제 저성장기에 실속소비 패턴이 정착하면서 자체 브랜드 시장이 크게 성장했는데 우리나라도 최근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

글로벌 유통업계 평균 자체 브랜드 점유율이 21%인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돼 유통사들은 자체 브랜드 라인업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