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류 내리고 농산물 오르고

소비자물가가 4개월 연속 3%대 오름세지만, ‘안정적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특히, 3%대 후반까지 치솟았던 소비자물가는 4달 만에 하락했다.

지난달 30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30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통계청은 5일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74(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 올랐다.

지난 8월 3.4%, 9월과 10월 각각 3.7%·3.8%에 이어 4개월째 3%대에 머물렀다. 다만, 올해 초 2%대였던 물가상승률에 비하면 갈길이 멀다는 분석이다.

구체적으로 석유류가 물가상승률 억제에 선봉이었다. 석유류는 1년 전보다 5.1% 하락하면서 전체 헤드라인 물가를 0.25%포인트 떨어뜨렸다. 유종별로는 휘발유가 2.4% 오르고 경유와 등유는 13.1%, 10.4%씩 내리면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물가 변동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OECD 기준 근원 물가 상승률은 3%를 기록했다. 근원 물가는 작년 11월(4.3%)부터 감소 또는 보합세를 보이면서 꾸준히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아울러 생활물가지수도 1년 전보다 4% 오르는 데 그쳐 4개월 만에 오름세가 그쳤다.

통계청은 “국제 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가격 하락 폭이 커졌고, 농축산물·내구재·섬유 제품 등의 상승 폭이 둔화한 영향”이라며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 물가도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연말 농산물 가격은 크게 올랐다.

통계청에 따르면, 농산물은 13.6% 오르면서 0.57%포인트 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 2021년 5월(14.9%) 이후로 2년 6개월 만의 최고 상승폭이다.

이외에도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2.7% 올랐다. 이 가운데 신선과실지수는 24.6% 뛰어 전월(26.2%)에 이어 20%대 오름세를 이어갔다. 사과는 55.5%, 귤은 16.7% 올랐다.

통계청 김보경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과실은 1년 단위로는 크게 떨어지긴 해도 단기간내 하락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며 “과실이 전월 대비로는 9.1% 큰 폭 하락하기는 했는데, 전년 대비로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