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은행연합회장 13명 가운데 민간 출신 5명 불과
관료 출신 윤종원·정은보 유력 거론, 최종구는 “뜻 없다”
12월 잇달아 임기 만료되는 손보·생보협회장 자리도 관심

윤종원 전 IBK기업은행장. 사진=연합뉴스
윤종원 전 IBK기업은행장. 사진=연합뉴스

국내 주요 금융협회 수장 임기가 연말로 종료되는 가운데 각 협회가 본격적인 회장 선임 레이스에 돌입한다. 이번 선임 과정에서도 항상 반복되온 ‘민(民)·관(官)’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검찰 출신 인사가 금감원장으로 등용됐던 현 정부 선례에 비추어 봤을 때 예상 외의 인물이 등장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의 임기는 올해 11월 말 만료된다. 은행연합회 정관에 따라 1회에 한해 연임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어, 김 회장은 1차례 연임이 가능하다. 다만 김 회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등용됐던 ‘전 정권 인사’로 분류되다 보니 교체 가능성이 높다는게 업계의 중론이다.

은행연합회장은 나이 및 자격요건에 별다른 제약이 없다는 점, 정권이 교체되더라도 임기는 보장된다는 점, 연봉이 8억원에 육박한다는 점 등 이점이 많아 민·관 출신 유력 인사들의 물밑 경쟁이 치열한 자리다.

그간 은행연합회장은 민보다는 관 출신이 주를 이뤘다. 역대 회장 13명 가운데 민간 출신은 5명에 불과했다. 현 김 회장은 행시 27회 출신으로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에서 공직을 시작해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 국장, 금융정보분석원장을 거친 관료 출신이다. 이후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을 거쳐 2020년 말 은행연합회장에 취임했다.

차기 은행연합회장에 거론되는 인물도 관료 출신이 많다. 윤종원 전 IBK기업은행장, 정은보 전 금융감독원장이 대표적이다.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문재인 정부 등 청와대에서 세 차례에 걸쳐 근무했던 윤 전 행장은 이번 정부에서도 초대 국무조정실장으로 내정됐다는 점에서 현 정부 요직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 전 원장은 행정고시 28회 출신으로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과장,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관 차관보, 금융위 부위원장을 거쳐 문재인 정부 마지막 금융감독원장에 올랐다가 윤석열 정부 출범에 따라 중도 하차했다.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도 함께 유력 후보로 거론돼 왔지만 최근 “뜻이 없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민간 출신으로는 오는 11월 퇴임을 앞두고 있는 윤종규 KB금융 회장과 조용병 전 신한금융 회장, 손병환 전 NH농협금융 회장, 허인 KB금융 부회장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조준희 전 기업은행장과 김도진 전 기업은행장도 후보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생명보험·손해보험협회장도 바뀐다. 정희수 회장 임기가 오는 12월 8일 마무리됨에 따라 생명보험협회는 다음 달 초쯤 이사회에서 회장추천위원회 구성 안건을 의결하고 차기 회장 선출 작업에 들어간다.

보험개발원장을 지낸 성대규 신한라이프 의장과 임승태 KDB생명 대표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성 부회장은 33회 행정고시 합격자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서 요직을 지낸 관료출신이다. 그러면서도 보험개발원 원장, 신한생명 대표 등을 지내 민관 경력을 두루 갖추고 있다.

임 대표는 23회 행정고시 합격 후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 등을 거쳐 금융위원회에서 사무처 처장과 상임위원, 법무법인 화우 고문 등을 지낸 뒤 올해 3월 KDB생명 대표이사에 취임했다.

12월 22일부로 임기가 만료되는 정지원 손해보험협회 회장 자리에는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을 지낸 유광열 SGI서울보증 대표 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파이낸셜투데이 한종해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