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역사. 사진=뉴시스

지하역사가 좁은 공간과 환기의 어려움으로 미세먼지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환경부가 발표한 ‘3차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대책(2018~2022년)’은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지하역사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고 공기질을 관리하는데 중심을 둔다.

환경부는 지하역사가 지하공간의 특성상 자연환기가 어렵고 좁은 공간에 다수의 이용객이 밀집하는 등 공기질 관리가 취약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자가측정 결과 지하역사 미세먼지(PM10) 오염도는 69.4㎍/㎥로 21개 다중이용시설군중 실내주차장 다음으로 두번째로 높은 오염도를 기록했다.

다른 구역의 오염도는 실내주차장 (81.2㎍/㎥), 대규모점포(56.9㎍/㎥), PC방(54.8㎍/㎥ ), 학원(50.6㎍/㎥) 등이었다.

지하역사의 터널구간은 특히 외부 오염유입, 레일 마모, 바닥의 자갈·흙 등의 분쇄로 인해 외기의 4~6배, 승강장의 3~4배의 고농도 상태를 보였다.

특히 올해 1월15일부터 21일까지 수도권 비상저감조치 기간 중 승강장은 외기보다 76%, 대합실은 외기보다 30% 높았다.

정부는 그간 2차례에 걸친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대책’ 추진으로 오염도는 개선 추세이지만 국민들이 체감하기에는 미흡하다고 자평했다.

지난 제2차 대책(2013~2017년)은 대부분의 예산(87%, 828억중 721억)이 석면철거에 투자되는 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국고 지원이 부족하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관리기준, 지하철 차량(이용객이 90% 이상의 시간을 체류)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제도 보완 등 미흡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3차 대책에 대해 환경부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 차량 2부제 등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정책시행으로 지하역사 공기질 관리가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며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3차 공기질 개선대책은 지하역사 미세먼지 농도 저감 관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지원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