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세계 각국의 경제 규모를 고려한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계 빚(부채)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빛 비율은 여전히 100%를 웃돌며 주요국들 중 가장 높았다.

3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기준으로 세계 33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100.1)이 가장 높았다.

이어 ▲홍콩(93.3%) ▲태국(91.6%) ▲영국(78.5%) ▲미국(72.8%) 순이었다.

다만 이번 조사 결과에서 1년 전과 비교해 한국 가계부채 비율의 내림 폭(-4.4%p·104.5→100.1%)이 영국(-4.6%p·83.1→78.5%)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올해 GDP 성장률이 한국은행의 전망(2.1%)대로 2%를 웃돌고,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목표(1.5∼2.0%) 안에서 관리된다면 가계부채 비율은 올해 중 100%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앞서 지난해 8월 이창요 한은 총재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어가면 경제 성장이나 금융안정을 제약할 수 있는 만큼 현재 100% 이상인 이 비율은 90%를 거쳐 점진적으로 80%까지 낮추는 게 목표”라고 말 한 바 있다.

연초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도 다소 안정되면서 이같은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28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6조371억원으로 지난 1월 말(695조3143억원)보다 7228억원 늘었다. 지난해 5월 이후 10개월 연속 불었지만, 월간 증가 폭은 1월(2조9049억원)보다 크게 줄어 지난해 6월(6332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최소 수준에 이르렀다.

다만 기업 빚의 경우 계속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작년 4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비(非)금융기업 부채 비율(125.2%)은 네 번째로 높았다. 한국을 웃도는 나라는 홍콩(258.0%)과 중국(166.5%), 싱가포르(130.6%) 뿐이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민간 신용 레버리지(차입)가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며 “GDP 대비 기업신용 비율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45.1%)은 22위로 중하위권 수준이었다. 경제 규모와 비교해 정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229.9%)이었고, 싱가포르(173.1%)·미국(119.9%)·아르헨티나(91.1%)이 뒤를 이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종해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