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등

정부가 12대 국가전략기술과 50개 중점기술을 공식 확정했다. 사진=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부가 12대 국가전략기술과 50개 중점기술을 공식 확정했다. 사진=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부가 12대 국가전략기술과 50개 중점기술을 공식 확정했다. 정부는 특화·공통 연구인력을 구분해 이들 기술 개발을 뒷받침할 인재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0일 이우일 부의장 주재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6회 심의회의’를 열고 국가전략기술 선정(안)과 국가전략기술 인재확보 전략(안) 등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12대 국가전략기술은 ①반도체·디스플레이 ②이차전지 ③첨단 모빌리티 ④차세대 원자력 ⑤첨단 바이오 ⑥우주항공·해양 ⑦수소 ⑧사이버 보안 ⑨인공지능(AI) ⑩차세대 통신 ⑪첨단 로봇 ⑫양자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0월 처음 12대 분야를 선정했고, 올해 9월 ‘국가전략기술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했다.

12개 기술에 따른 50개 세부 기술도 구체화했다.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전력반도체, 리튬이온전지 및 핵심소재, 도심항공교통(UAM), 소형모듈형원자로(SMR), 합성생물학, 달착륙·표면탐사, 수소 저장·운송, 안전·신뢰 AI, 오픈랜, 양자컴퓨티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이들 기술을 중심으로 예산 투자와 임무 중심 전략로드맵 수립 등을 통해 추진할 계획이다.

◆기술 위해서는 사람도 필요

아울러 정부는 한정된 인력·자원 상황에서 최고급 인재를 효율적으로 양성·확보하기 위한 ‘국가전략기술 인재확보 전략’을 수립했다.

필요한 인재 유형을 전문영역에서 활동하는 ‘특화R&D 인재’와 각 기술군에서 공통으로 활용 가능한 기반기술을 가진 ‘공통R&D 인재’로 구분해 양성체계를 구축한다. 특화R&D 인재 양성을 위한 특화연구소의 설치·운영을 확대하고, 공통R&D 인재를 교육하는 특화교육기관 지원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또 인재정책 수립에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R&D 인재의 연구수행 과정부터 고용시장 진출까지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정보 분석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전략기술 분야별 연구자의 국가·기관 간 이동성·유출입을 분석하고, 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 등록 연구자 약 51만명의 국가 R&D 과제 참여인력의 취업정보를 파악할 계획이다.

해외 우수 연구자·기관과의 국제 교류 기획도 확대한다. 정부는 해외연수지원 사업을 체계화한 가칭 ‘K스타십(starship·Korea S&T And Research fellowSHIP) 프로그램을 추진하기로 했다. 해외인재가 국내 영주권·국적을 간소화된 절차로 취득할 수 있는 ‘과학·기술 우수인재 영주·귀화 패스트트랙’ 확대 적용도 검토할 방침이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