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수출입 컨테이너. 사진=연합뉴스
부산항 수출입 컨테이너. 사진=연합뉴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년 우리 경제 성장률이 2.2%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증가세 둔화로 올해보다 낮은 2.6%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상품 수출은 반도체 수요 확대에 힘입어 3.5% 증가하고 민간소비는 고금리 기조에 따른 상품 소비 부진 지속으로 1.8% 증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KDI는 9일 이같은 내용의 2023년 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KDI는 2024년 우리 경제는 내수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출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2.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소비는 전년(1.9%)과 유사한 1.8% 증가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고금리 기조로 인한 상품소비 부진 지속에 따른 것이다.

설비투자도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진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봤다. 다만 수출의 완만한 회복과 2023년(0.2%)의 기저효과로 인해 2.4%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건설투자는 주택부문을 중심으로 한 건설수주 위축을 반영해 1.9%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상품수출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서비스수출도 여행수요의 점진적 회복에 따라 높은 증가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경상수지는 수출 회복세에 더해 내수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흑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소비자물가는 내수 증가세 둔화로 인해 2023년(3.6%)보다 낮은 2.6% 상승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내수 증가세 둔화에 따라 취업자 수는 2023년(32만명)보다 축소된 21만명 증가하고, 실업률은 2.7%에서 30.%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KDI는 거시경제정책은 물가안정을 위해 당분간 긴축적인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중장기적인 재정건전성 관리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고금리 기조 영향으로 물가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물가안정목표를 상당폭 상회하고 있어 당분간 긴축적인 거시정책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재정수요 급증으로 중장기적 재정건전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며 의무지출을 포함한 전반적인 재정지출에 대한 구조조정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경제 전반의 구조개혁을 추진해 우리 경제의 역동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진입장벽 완화, 노동시장 유연화, 교육제도 개편 등의 구조개혁에 정책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파이낸셜투데이 한종해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