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대한상공회의
자료=대한상공회의

‘생성형 AI’를 업무에 가장 많이 활용할 수 있는 산업부문은 ‘금융·보험업’일 것으로 전망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마이크로소프트, 엑세스파트너쉽과 함께 28일 발간한 ‘생성형 AI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보험업’(10.1%),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산업’(9.6%), ‘정보산업’(8.1%), ‘도매업’(7.1%),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산업’(6.7%) 순으로 생성형 AI가 업무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보험업의 경우, 전체 업무영역의 10.1% 가량이 생성형 AI 적용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특히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거나 복잡한 작업이 필요한 산업에서 생성형 AI가 더 큰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생성형 AI가 상당수 근로자들의 업무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 전체 근로자의 약 3분의 2가량(67%)이 업무활동의 5~20%에 생성형 AI를 활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업무활동의 0~5% 적용’이 전체 근로자의 32%로 가장 많았고, 이어 ‘10~15% 적용’이 24%, ‘15~20% 적용’이 22%, ‘5~10% 적용’이 21%로 집계됐다. ‘20% 이상 적용’이 예상되는 근로자 비중은 전체의 1%에 그쳐 생성형 AI의 활성화가 일자리 대체 요인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생성형 AI가 현 시점 한국 기업생산현장에 적용되면 우리 경제의 잠재적 생산역량이 최대 미화 4763억 달러(한화 620조원)만큼 증가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이는 2022년 국내 GDP(2150조6000억원)의 29%에 해당하는 수치다.

보고서는 생성형 AI의 성공적 적용을 위해 기업과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도 제시했다. 먼저 기업 측면에서는 현재 기술 중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부분과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 기술이 무엇인지 파악해 이에 대한 업스킬링(upskilling)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가장 필수적인 역량으로는 ‘분석적 판단’ ‘유연성’ ‘감성 지능’을 꼽았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프라이버시 침해 등 기술의 유해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레일을 마련함과 동시에, 생성형 AI 사용 토대 마련을 위한 데이터 수집·관리 및 공유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AI 기술발달에 따른 일자리 대체 혹은 저작권 침해 등의 윤리 문제를 과도하게 우려해 19세기 영국의 ‘적기조례(마차산업의 쇠락 우려해 자동차 속도 제한)’같은 시대착오적 규제가 생기는 일이 없길 바란다”며 “생성형 AI의 안정적 활용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 구축을 위해 민관이 적극 협력하는 한편, 생산성 향상과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해 국부 창출에 기여하게끔 발전적 방향으로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종해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