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의 투자가 1% 감소할 경우 한국의 국내총생산(이하 GDP)이 0.09%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경제가 리오프닝 이후에도 좀처럼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로 민간 부동산개발업체와 기업에 돈을 댄 기업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지는 등 경제 위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25일 발표한 ‘경제전만 보고서-글로벌 제조업 경기 평가 및 우리 경제에 대한 시사점’에서 “중국투자가 1% 감소할 경우 우리나라 GDP는 0.09% 줄어들었으며, 이는 전체 평균보다 높고, 일본(-0.08%)과는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중국 충격이 전세계 127개국 국가들의 GDP에 미친 영향을 1995~2021년 기간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했다. 그 결과 글로벌 GDP(중국 제외)는 2년 후 약 0.0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주로 아시아 지역, 개발도상국 및 대(對)중국 수출비중이 높은 국가들에서 두드러졌다.

지역별로는 아시아(-0.13%) 및 아프리카(-0.15%) 국가들의 GDP 감소폭이 미주(-0.03%) 또는 유럽지역(-0.02%) 국가들에 비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아울러, GDP 대비 대중 수출 비중이 3% 이상으로 중국과의 무역 연계가 높은 국가들의 GDP 감소폭(-0.15%)이 여타 국가들(-0.03%)의 5배에 달했으며, OECD 비회원국들(-0.19%)에 대한 영향이 회원국들(-0.02%)보다 컸다.

중국의 투자 확대는 다른 나라의 GDP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의 민간소비 증가는 글로벌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쩍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중국의 투자가 해외 중간재·자본재 수입 유발을 통해 글로벌 생산 및 교역 증가에 대한 기여도가 높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과 부합한다”며 “향후 중국의 성장 동력이 향후 투자에서 소비 중심으로 전환될 경우 중국의 투자 둔화에 따른 글로벌 성장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소비 증가로 충분히 상쇄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하반기 이후 하강국면을 지속 중인 글로벌 제조업 경기는 당분간 부진을 이어가겠지만, 내년 이후에는 글로벌 금리인상 사이클이 종료되고 소비자 정상화되면서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부동산 문제 등에 따른 중국의 성장세 둔화가 제조업 경기의 빠른 회복을 제약할 소지가 있다.

좀 더 긴 시계에서 보면 공급망 재편과 친환경 전환도 글로벌 제조업 지현의 변화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미국·EU·중국 등은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자국의 생산능력을 확충하기 이해 투자를 확대하고, 친환경 전환도 기술주도권, 자원 확보 등의 이수들이 첨예하게 맞물리면서 제조업 지형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한국은행은 한국경제가 이러한 글로벌 제조업의 구조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성장동력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수출시장 다변화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친환경 전환도 가속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친환경 전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원자재 공급의 독과점화, 환경 관련 수출규제 강화 등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보다 근본적으로는 반도체 등 첨단 분야에서 기술경쟁력을 유지·강화하는 것이 경제의 성장 잠재력과 복원력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선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