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연초 이후 하향 안정화하는 모습을 보였던 카드론 금리가 15%대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카드사들의 채권발행이 늘면서 여신전문금융채(이하 여전채) 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 은행에서 대출이 거절된 취약차주들이 몰리면서 금리 상승을 부추길 것으로 예상된다.

22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BC 등 8개 전업카드사의 지난달 말 기준 카드론 취급 평균 금리는 13.58~14.99%로, 15%대 진입 직전이다.

카드사별로는 우리카드가 13.58%로 가장 낮았고, ▲현대카드(13.59%) ▲신하카드(14.03%) ▲KB국민카드(14.12%) ▲하나카드(14.30%) ▲삼성카드(14.51%) ▲롯데카드(14.72%) 순으로 금리가 낮았다.

카드론 금리는 지난해 10월까지 12~13%대였지만, 채권시장 경색의 여파가 이어지면서 올해 초 15%대를 기록했다. 이후 하락 흐름으로 돌아선 뒤 3월과 4월에는 하단 기준 12% 후반대, 상단은 14% 중반대로 내려온 바 있다.

카드론 금리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카드사들의 채권 발행이 늘어난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여전채(무보증, AA+) 3년물 금리는 지난 21일 기준 4.212%를 기록했다. 연초 5%대였던 여전채 금리는 채권시장 안정과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3월 20일 3.815%까지 하락했지만, 이내 반등했다.

카드사들은 수신기능이 없기 때문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하는데, 최근 카드사들의 채권 발행량이 늘었다. 올해 1월 1조6500억원이었던 카드사들의 채권 발행액은 5월 2조1800억원으로 늘었다. 3월에는 2조1400억원으로 2조원을 돌파했고, 4월에는 2조6100억원으로 더 증가했다.

또한 시중은행이나 저축은행에서 대출이 거절된 취약차주들이 비교적 심사가 간편한 카드론으로 몰린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을 통해 시중은행 및 인터넷전문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해 1~10월 저신용자(NICE신용평가 664점 이하) 대상 신규 (신용)대출 취급액은 1192억원으로, 전년동기 1592억원 대비 25.1% 감소했고, 계좌 수는 1만2931좌에서 9189좌로 줄었다. 같은 기간 저신용자들이 보유한 신용대출 잔액 역시 23조3000억원에서 19조5000억원으로 16.1%, 계좌 수 역시 178만좌에서 147만좌로 17.4% 감소했다.

저축은행 역시 소액신용대출의 연체율이 오르자, 신규 취급을 줄이고 있다. 올해 1분기 저축은행 상위 5개사(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의 소액신용대출 잔액은 5517억원으로, 작년 4분기 5660억원보다 143억원(2.52%) 감소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은 6.43%에서 7.14%로 0.71%p 상승했다.

문제는 카드론 연체율과 연체액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최 의원이 금감원을 통해 7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이들 카드사의 카드론 연체액은 7600억원, 연체율은 평균 2.13%였다. 연체액은 2021년 1분기 6200억원에서 지난해 2분기까지 5000억원대로 꾸준히 하락했지만, 같은 해 3분기부터 오름세로 돌아서 지난해 말 6800억원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카드론 이용금액(연간회계연도 누계액 기준)은 13조6300억원에서 2021년 말 48조원까지 늘었다가 올해 1분기 10조2400억원으로 줄었다. 즉 카드론 이용금액은 줄어든 반면, 연체액과 연체율은 오르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한국은행은 전날 발표한 ‘2023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말 자영업자 대출의 연체위험률은 3.1%까지 상승하고, 이중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이거나 저신용인 취약차주의 연체위험률은 18.5%까지 상승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와 함께 조달 금리는 3개월 간격을 두고 카드론 금리에 반영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카드론 금리는 더 오를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카드론 금리가 오른 것은 저축은행 등에서 대출이 거절된 취약차주들이 카드론에 대거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며 “최근 연체율 상승이 특정 금융업권에 국한된 것이 아닌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단계별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오르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선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