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프레드 버그스텐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이하 PIIE) 명예원장이 미국과 중국간 경쟁의 중심에 서 있는 한국이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버그스텐 명예원장은 26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세계경제연구원(IGE) 창립 30주년 기념 특별 국제컨퍼런스 ‘지정학적 도전, 기후변화 위기, 그리고 세계경제 미래’에서 온라인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향후 글로벌 경제는 미중 패권경쟁 속 지도자 없는 미래를 맞을 위기에 놓여있다”며 “지난 1·2차 세계대전 사이 있었던 재앙적인 시기와 같은 막대한 피해를 입을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안보와 정치적 영역에서는 의견이 다르더라도 경제적 문제에서는 협력하는 ‘기능적 디커플링’ 개념을 강조하고, 이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버그스텐 명예원장은 특히, “한국이 미중 경쟁의 중심에 있는 만큼 적극적인 중재자로서 기능적 디커플링 추진을 위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면서 “한국이 다른 주요 중소국들과 함께 세계를 재앙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앤 크루거 전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수석부총재도 “현 시점이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새롭게 확대되는 시작점이 될 경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경험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세계경제 침체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크루거 전 부총재는 코로나19 펜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충격 속에서 글로벌 긴밀한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게 됐다며, 세계경제 또한 이러한 소통으로 다시 교역 시스템의 자유화로 나아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다자간 WTO 접근 방식으로 복원하고 국제경제가 보호주의에서 개방과 자유화로 다시 회귀해야 한다”면서 “한국과 같이 위기 속에서도 자국보호를 위한 폐쇄정책을 최소화한 국가들이 두각을 나타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녹색성장과 기후변화 등과 관련해서 메간 오설리반 하버드 케네디스쿨 교수는 전 세계가 다자주의에 기반해 공동의 노력으로 에너지원 다변화, 에너지 회복력 향상,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 통합 및 상호연결을 위해 투자하고, 기술 및 데이터 등의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스티븐 프라이즈 전 쉘(Shell)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주요국의 기후정책과 탈탄소 에너지 정책들이 각기 다른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어 정책간 충돌과 긴장이 불필요한 경쟁과 분열로 이어져 에너지 전환과 기후 안정을 위한 기술 발전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세계 최초 수소법, 기후행동기금 및 배출권 거래 시스템 등 국제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저탄소 기술과 기후정책 경험을 갖고 있는 만큼 동맹 국가들과 함께 에너지 전환의 최전선에서 핵심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키코 후카가와 와세다대학교 교수는 지정학, 기후변화, 세계경제 등 모든 부문에서 불확실서잉 난무하는 현실 속에서 전 세계가 공동의 노력을 다랄 수 있게 하는 기점이 될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도 참석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한덕수 국무총리.

한 총리는 이날 축사에서 “현재는 ‘경제가 안보’며 ‘안보가 곧 경제’인 시대”라며 지속가능성장이 위협받은 작금의 위기 속에서 “저탄소 경제체제로의 전환은 탄소중심 한국 경제·산업에 큰 위협이지만, 동시에 새로운 기회”라고 말했다.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

허 명예회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해 각종 자원과 물류 공급 불안이 이어지고, 미·중을 중심으로 경제 블록화가 심화돼 에너지 자원의 생산 및 공급망 안정이 세계 경제의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며 한국의 산업과 경제구조의 특수성을 종하적으로 고려해 ‘도전적이면서도 현실성 있는 목표와 실행계획’을 수립해 나가기 위한 산업계의 선도기술 확보 노력과 정부의 과감한 정책지원을 당부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선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