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5일까지 경의선 400km, 7~17일 동해선 800km 구간 조사
철도차량 6량에서 28명 숙식 해결, 발전·유조·침대·침식·객차 등 갖춰
북한철도 시설, 시스템 분야 등 점검…10년간 변화 확인할 수 있는 기회

30일 오전 남북철도 현지공동조사단을 태운 열차가 북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남북철도공동조사단 1기 남측대표단이 경의선·동해선 등 현지 공동조사를 위해 북한으로 출발했다.

남측대표단은 30일 오전 6시 40분쯤 남측 철도차량을 타고 서울역을 출발했다. 이어 8시쯤 도라산역에 도착해 환송 행사를 마친 뒤 오전 9시쯤 도라산역을 출발해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환송 행사에는 조명균 통일부 장관, 김현미 국토부 장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을 비롯해 오영식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 김상균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조 장관은 “남북 정상이 합의한 대로 남북철도 착공식이 올해 내에 개최될 수 있도록 착실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 장관은 “오늘의 출정식이 섬처럼 갇혀 있던 한반도 경제영토를 유라시아 대륙으로 확장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측대표단은 이날부터 다음 달 17일까지 총 17일간 북한 내 철도를 따라 약 2600km를 이동하며 남측 철도차량(6량)에서 숙식을 해결할 예정이다. 6량 내부에는 발전차, 유조차, 객차, 침대차, 침식차, 유개화차(물차) 등이 갖춰져 있다.

남측 철도차량은 북한 판문역에서 북측 기관차에 연결된 후 남측 기관차는 분리·귀환하고 북측 기관차는 남측 철도차량을 이끌게 된다. 북측 조사단도 이때 합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공동조사에는 박상돈 통일부 과장, 임종일 국토교통부 과장 등 관계 부처 담당자와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시설공단 관계자 등 총 28명이 조사 인원으로 참여한다. 북한은 철도성 관계자 등 남측과 비슷한 인원으로 조사단을 꾸릴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에 따르면 남북공동조사단(이하 조사단)은 먼저 경의선 조사를 위해 개성에서 출발해 신의주까지 조사하고 5일 평양으로 내려온다. 이어 남측대표단은 평양에서 버스를 타고 육로를 이용해 남한에 복귀한다. 이때 철도차량은 평라선(평양~라진)을 이용해 원산으로 이동한다.

남북철도 현지공동조사단을 태운 열차 이동 경로. 사진=국토부

동해선 조사단인 2기 남측대표단(총 28명)은 7일 강릉에 모여 버스를 타고 북측 동해선의 출발역인 감호역으로 이동한 뒤 감호역에서 북한 버스로 갈아타고 철로 옆 도로를 이용해 금강산을 거쳐 안변역으로 이동한다. 안변역에서 2기 남측대표단은 원산에서 안변으로 내려온 철도차량에 다시 탑승한 뒤 8일부터 고원역, 라진역을 거쳐 두만강까지 조사한 후에 원산으로 내려와 다시 평라선을 이용해 평양에 도착한다. 이어 2기 남측대표단은 개성에서 남측 기관차에 연결된 철도차량을 타고 서울역으로 귀환한다.

조사단은 남북철도 북한 구간 중 경의선의 개성~신의주 약 400km 구간은 이날부터 12월 5일까지 6일간, 동해선의 금강산~두만강 약 800km 구간은 12월 8일부터 17일까지 10일간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조사 방식은 열차로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북한철도 시설, 시스템 분야 등을 점검하는 방식이다. 점검 후에는 북측 공동조사단과 조사 결과 공유 등 실무협의를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2017년 12월 12~18일 경의선 개성~신의주 구간에 대해 현지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며 “10년간 변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라고 밝혔다.

특히 동해선의 경우 금강산~두만강 구간은 분단 이후 남측 철도차량이 처음으로 운행된다며 현지조사의 의미를 강조했다.

남북철도 현지 공동조사는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의 성과에 따른 후속 조치이다. 또 한미 워킹그룹을 통한 미국의 지지와 유엔의 대북제재 면제 승인을 받아 이번 조사에 착수하게 됐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었다.

정부는 이번 현지 공동조사를 효율적으로 마무리해 북측 철도 시설의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현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현지 공동조사 이후에 대해 정부는 “기본계획 수립, 추가 조사, 설계 등을 진행해 나가고 실제 공사는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추진하게 될 것”아라며 “남북 간 합의한 바와 같이 착공식을 연내 개최하는 문제에 대해 북한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투데이 강창우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