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파이낸셜투데이=박상아기자] 고교학점제 시범운영에 대해 현장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높다.

5일 정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고교학점제’를 오는 2022년에 도입하기로 하고 내년부터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운영할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연구학교 60곳과 선도학교 40곳을 선정해 운영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최종 운영모델을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고교학점제는 문재인 정부의 초·중등 교육분야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다. 대학처럼 학생들이 교과를 선택하고 강의실을 다니며 수업을 듣는 방식인 ‘과목선택제’를 토대로 학점과 졸업을 연계하는 제도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 고교교육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 분위기다.

하지만 일선에서 교편을 잡고 있는 선생님들의 의견은 다소 부정적이다. 취지엔 공감하지만 고교학점제의 전제조건인 내신 절대평가가 적용되지 않아 과목 쏠림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그동안 교육계 전반에서는 고교학점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 고교 내신 성취평가제 실시가 필수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어왔다. 지금처럼 내신을 상대평가하는 상황에서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면 대다수 학생은 점수를 얻기 쉬운 과목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려면 개설 과목수와 교원이 충분해야 하는데 가능하겠냐는 지적이다.

또 파이낸셜투데이가 경기 성남에 소재한 한 고등학교에 돌린 설문조사에서, 한 선생님은 “학생 선택권을 존중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지만 입시 패러다임이 현행처럼 유지되는 한 학생들은 입시에 유리한 과목을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간 격차와 과목 간 격차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숨기지 않았다.

이 선생님은 “수강인원 편차가 커지면 성적 산출이 어렵고 소수선택 과목은 내신에 불리해진다”며 “대입에 유리한 과목에 쏠릴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대입제도부터 개선하지 않으면 실제로 시행되기 어려운 제도”라고 설명했다.

즉 고교학점제가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고교 교육이 대학입시에 얽매여 있는 상황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또 정부의 대대적인 고교학점제 홍보에도 불구하고 제도 자체를 잘 모르겠다는 의견도 많았다.

한 선생님은 “뉴스를 통해 소식을 들었을 뿐 제도에 대해 잘은 모른다”고 답했다.

이어 “실제로 고교학점제를 경험하게 될 학생들도 제도에 대해 잘 모르는 분위기”라며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면밀하게 구성하고 정책 당사자인 교사를 포함해 학생, 학부모에게도 충분히 인지시킨 다음에 시행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27일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 간 유불리 문제가 논란이 되자 고교 내신 평가방식을 기존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 부총리는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에 대해 “입시·경쟁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모든 학교에서 다양하고 특색 있는 교육을 제공하고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해 학교 유형에 관계없이 학생들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고교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