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전분기 대비 0.6% 성장하면서 2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민간·정부 소비가 줄었지만, 순수출이 늘면서 역성장을 피했다.

다만, 수출입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수입 감소폭이 수출 감소폭을 웃돌면서 ‘불황형 성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우리 경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는 전분기 대비 0.6% 성장했다.

분기별 실질 GDP 성장률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 1분기와 2분기 모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가 3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9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를 지속했다.

그러다가 지난해 4분기 수출 부진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0.3%로 돌아섰다가 올해 1분기와 2분기 각각 0.3%, 0.6% 성장하면서 2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2분기 성장을 생산 측면에서 보면 자동차가 호조세를 지속하고, 반도체가 증가로 전환하면서 제조업 생산이 성장을 주도했다. 지출 측면에서는 소비 등 내부 성장 기여도가 일시적 요인 등으로 마이너스 전환했지만,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가 더 큰 폭으로 플러스 전환했다.

민간소비는 재화 소비가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지만, 음식숙박 등 서비스 소비가 줄어 0.1% 감소했다.

신승철 경제통계국장은 “연초 방역조치 전면 해제로 크게 늘었던 대면활동 관련 소비가 일시적으로 주춤하는 모습이고, 5월 연휴 기간 중에는 기상여건 악화로 대면활동이 일부 제약된 영향도 있었다”며 “3분기 이후에는 소비자 심리 개선 등의 영향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현물수혜가 줄어 1.9% 줄었다. 이는 코로나19 확진자 수나 독감환자 수가 전분기 대비 감소하면서 건강보험급여 지출이 줄었고, 방역조치 해제로 이와 관련한 정부 지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0.3%,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늘었으나 운송장비가 줄어 0.2%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이 증가한 반면, 석유제품, 운수서비스 등이 줄면서 1.8% 감소했고, 수입은 원유, 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4.2% 줄었다.

이에 따라 민간의 성장 기여도는 순수출을 중심으로 전분기 0.6%p에서 1.1%p로 상승했고, 정부의 성장 기여도는 정부소비 등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 –0.3%p에서 –0.5%p로 하락했다. 순수출은 –0.2%p에서 1.3%p로 5분기 만에 플러스 전환했다.

신 국장은 “수입은 그동안 많이 늘었던 원유와 천연가스 등 재고 조정이 일어나면서 일시적으로 크게 감소한 영향이 컸다”며 “1분기에 좀 많이 들어와 재고로 쌓였던 부분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원유 수입이 줄면서 재고 증감도 줄어, 재고 증감의 기여도가 마이너스로 나왔던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수출과 수입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수입의 감소폭이 더 커 순수출 기여도가 플러스 전환하면서 ‘불황형 성장’을 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내수가 일시 조정되는 부분은 기저효과 영향이 컸고, 수출입 감소 폭이 차이가 나서 수출입 기여도가 커진 부분도 일시적인 요인에 따른 것”이라며 “자동차나 반도체 수출이 증가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불황형 성장이라고 해석하기보다는 제조 생산 증가가 순수출의 개선을 통해서 우리 경제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는 실질 GDP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입품 가격이 수출품 가격보다 더 상승하는 등 교역조건 악화의 영향으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상반기 전체로는 전년동기대비 0.9% 성장해 지난 5월 전망치 0.8%를 소폭 상회했다.

한편, 한국은행이 전망한 올해 경제성장률 1.4%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반기 1.7% 이상 성장해야 한다. 이는 3분기와 4분기 각각 전분기 대비 0.7%씩 성장해야 하는 것이다.

신 국장은 “상반기 성장률이 전년동기대비 0.9%였고, 하반기 성장률이 1.7%면 (연간 성장룰이) 1.4%가 된다”며 “연간 흐름으로 볼 때 ‘상저하고’로 보는데, 상반기 실적이 0.9%, 하반기 1.7%가 나오면 상저하고 흐름은 맞다고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선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