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자산가격 상승과 경기침체 등으로 2030세대의 빚이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대출은 3년 사이 약 30% 증가했고, 1·2금융권에서 대출자 1명당 평균 7000만원, 5400만원가량을 빌렸다.

연체율도 조금씩 높아지는 추세로, 고금리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경기침체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된다면 이들의 경제적 고통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30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이하 한은)으로부터 제출받은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현재 국내 은행권의 가계대출 차주(대출자) 수는 1490만명,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902조2000억원에 달했다.

이는 한은이 자체 가계뿌채 데이터베이스(약 100만 대출자 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것으로,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1270만명, 766조8000만원)보다 대출자 수와 잔액이 각각 17.3%, 17.7% 늘었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보험사, 여신전문금융사 등 제2금융권에서의 가계대출 잔액도 같은 기간 8.7%(468조5000억원 → 509조1000억원)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30세대가 대부분인 ‘30대 이하’ 계층에서 대출 급증세가 두드러졌다. 이들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4분기 현재 은행 354조8000억원, 2금융권 159조7000억원 등 총 514조5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2019년 4분기 404조원(은행 278조1000억원, 2금융권 125조9000억원)보다 27.4%나 늘어난 것이다.

30대 이상의 대출 증가율은 ▲60대 이상(25.5%, 288조6000억원 → 362조1000억원) ▲40대(9.2%, 478조4000억원 → 522조6000억원) ▲50대(2.3%, 451조3000억원 → 461조6000억원) 등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3년간 대출 증가액 또한 30대 이하(110조5000억원)가 가장 많았다.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도 20·30대였다. 2금융권에서도 30대 이상는 평균 5413만6000만원의 대출을 받고 있었는데, 2019년 4분기(4101만원)보다 32%나 증가했다. 이 역시 ▲40대(18.1%, 5707만원 → 6737만2000원) ▲50대(4.7%, 6424만1000원 → 6723만1000원) ▲60대 이상(3.0%, 6968만5000원 → 7179만5000원)보다 월등히 높았다.

최근 2030세대와 저소득층 등 취약차주의 연체율이 조금씩 오르면서 경제·금융의 잠재적 불안 요소가 되고 있다.

1·2금융권을 통틀어 30대 이상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0.5%로, 2020년 4분기 이후 0.4%를 지속하다가 0.1%p 상승했다.

40대(0.6%)와 50대(0.6%), 60대 이상(0.7%)의 연체율도 작년 말을 기점으로 일제히 올랐다. 증소득 대출자(소득 30~70%)의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이미 1.0%를 찍었고, 저소득자(0.9%)도 1%가 코앞이다.

한은은 지난해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앞으로 완화적 금융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금리 인상 포함)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양경숙 의원은 “코로나19 사대를 거치면서 경제적 기반이 약한 청년층의 대출이 너무 많이 늘었다”면서 “이들의 이자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연체가 늘어나면 소비까지 줄어 금융은 물론 경제 전반의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선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