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KDI
자료=KDI

가파른 금리 상승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대출이 크게 늘었던 청년층의 상환부담이 크게 늘면서 이들의 연간 소비가 90만원가량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60대 이상의 소비 감소폭보다 8배 이상 큰 것이다.

26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KDI)이 발표한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부채상환 부담 증가와 시서점’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 1%p 인상에 따른 20대의 연간 소비 감소폭은 약 29만9000원이었다. 반면, 60대 이상의 소비 감소폭은 3만6000원에 그쳤다. 20대의 연간 소비 감소폭이 60대 이상보다 8.4배 더 많은 것이다.

2021년 0.5%였던 기준금리가 현재 3.5%까지 오른 것을 감안하면 20대의 연간 소비 감소폭은 89만6000원에 이른다. 30대의 경우 기준금리 1%p 인상에 따라 소비가 연간 20만4000원 줄어, 실제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한 연간 소비 감소폭은 61만3000원으로 분석됐다.

KDI는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가 고령층에 비해 크고, 자산 처분이나 추가 차입을 통해 소비 수준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청년층의 경우 기준금리 1%p 인상으로 소득의 약 3.3%가 원리금 상환에 추가로 지출됐지만, 60대 이상의 경우 소득의 1.2%만이 원리금 상환에 추가로 지출됐다.

김미루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청년층의 경우 중장년층에 비해 소득도 작아서 자산 형성이 부족해 금리인상 충격 발생 시 자산 처분이나 추가 차입을 통한 대응이 어려웠음을 의미한다”며 “60대 이상은 소득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자산이 많고 부채가 적어 소비수준을 유지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청년층 내에서는 부채 상위 50%의 소비 감소폭이 부채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11배 많았다. 기준금리가 1%p 인상될 때 부채 상위 50% 청년층의 연간 소비는 26만4000원 감소했지만, 부채를 보유하지 않은 청년층은 2만4000원 감소에 그쳤다.

부채보유 하위 50% 청년층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소비 감소폭이 연간 약 7만6000원으로 나타났다.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층은 기준금리 1%p 인상 시 소득의 약 4.9%를 원리금 상환에 추가 지출했지만, 부채보유 하위 50%는 약 1.3%만 추가로 사용했다.

부채가 많은 청년층 중에서도 소득 수준이 낮거나 신용점수가 낮은 취약차주에서 소비 감소가 두드러졌다.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 중 저소득층의 소비 감소폭은 기준금리 1%p 인상당 약 27만9000원으로, 고소득층(약 9만2000원)에 비해 3배 정도 많았다. 중소득층(약 21만2000원)에서도 금리인상에 따라 연간 소비가 고소득층 소비 감소폭의 약 2.3배에 달해 고소득층을 제외하면 부채가 많은 청년층은 금리인상 충격에 소비수준 유지가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보채보유 상위 50% 청년층 중 신용점수 700점 이하인 저신용층은 기준금리가 1% 오를 때 연간 소비가 무려 53만9000원 줄었다.

청년층의 부채상환 부담이 크게 증가한 이유는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해 저금리 기조가 이어졌던 2020~2021년에 주거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대출을 크게 늘렸기 때문이다. 청년층 총대출 중 주거 관련 대출 비중은 약 82.4~85.0%에 달했다. 주택구입여력이 부족한 청년층의 전월세 보증금 마련을 위한 대출 비율은 2022년 말 기준 약 30.0%로, 중장년층(5.6%)보다 24.4%p 높았다.

팬데믹 기간 가파르게 상승한 주택 가격도 청년층의 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2018년 이후 감소 추세였던 청년층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율(4.7%)은 중장년층(2.3%)보다 두 배 높았다. 당시 부동산 등 자산가격이 급격히 상승하자, 이같은 흐름에 올라타기 위해 ‘빚투·영끌’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

이런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상 기대로 2021년 초부터 시장금리가 오르자 청년층의 부채상환 부담은 중장년층보다 빨리 확대되기 시작했다. 청년층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하 DSR)이 같은 해 2분기부터 급격히 상승하면서 부채상환부담이 급증하게 됐다.

팬데믹 당시 원금 만기연장, 원리금 상환유예 등 취약차주 보호 정책으로 2021년까지 연체율은 대체로 하락했지만, 최근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자 청년층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증대된 부채상환 부담이 반영되고 있다.

KDI는 청년층 차주가 합리적인 수준에서 부채를 보유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한계상황에 직면한 청년 차주에게 기존 채무를 장기 분할상환 대출로 전환할 기회를 확대해 단기 상환부담을 경감하고 장기간에 걸쳐 상환할 수 있도록 보조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청년층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고 자산 대비 부채가 많으며, 미래 소득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 금융시장 접근성이 낮아 일시적인 충격에도 경제활동이 크게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청년층 부채의 상당 부분이 주거 관련 부채라는 점에서 주거 관련 비용의 안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근로기간이 길게 남은 청년의 특성을 고려하면 장기간에 걸쳐 채무를 상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돌려막기’ 등으로 채무구조가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을 축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선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