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 연속 5000명대를 넘어섰다. ‘위드 코로나’ 전환에 따라 방역지침이 완화되고 사회적 모임 등이 증가하면서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바이러스 활동에 유리한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일각에선 확진자수가 1만명이 넘을 것이란 인공지능(AI)으로 감염병 유행을 예측하는 알고리즘 계산 결과도 공개됐다.

서울 경기도 등 수도권 확산세가 무서울 정도다. 1일 기준, 수도권 코로나19 중증 병상 가동률은 89.2%, 전국적으로도 중증 병상 가동률은 80%에 근접했다.

이로 인한 의료대응 체계가 한계에 직면한 상태다. 일부 의료 보건 전문가는 지금이라도 ‘위드 코로나’로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게다가 전파력이 델타변이 보다 몇 배 강하다는 오미크론 확진자가 국내에서 처음 나오면서 국민적 불안감은 더 커졌다.

그럼에도 정부가 내놓은 대응책은 피부로 와닿지 않는다. 부스터샷(추가접종) 간격을 좁혀 위증증 환자 발생을 억제하고, 경증 환자에 대해선 재택치료를 의무화한 게 대책의 핵심이다. 확진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한 산소포화도 측정기·체온계·해열제·소독제 등이 든 재택치료키트를 받으면 알아서 건강상태를 체크해야 한다.

부스터샷이나 재택치료 의무화도 자발적 동참이 없다면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무용지물일 수밖에 없다.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해 1월 이후 2년 간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피로도가 높은 상황에서 시민과 환자와 그 가족이 짊어져야 하는 무게가 커졌다는 의미다.

현재 의료 대응 체계 한계에 다다르면서 최근 확산 추세를 보면 의료진의 피로도 한계를 넘나들고 있다.

지금으로선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외엔 뾰족한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 선택의 기로에 놓인 정부 역시 모를 리 없지만 위드 코로나 이전으로 되돌아갈 경우 매출 회복 기미를 보이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불만이 터져 나오는 것에 주저해서는 안된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피해보상을 과감히 집행해 불만을 누그러뜨릴 수 있다.

아니면 가장 심각한 수도권만이라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해 피해보상에 나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코로나 최전선에서 싸우고 있는 의료진과 환자와 그 가족의 안위를 생각한다면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의료 붕괴와 코로나 확산세를 잡을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