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효정 기자
사진=이효정 기자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각 나라 정부가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내 유수 제약사들이 모여 차세대 백신 개발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이 실질적으로 잘 이뤄질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

K-mRNA 컨소시엄은 차세대 백신으로 주목 받는 메신저리보핵산(mRNA)을 개발하고자 원료‧제조‧신약개발 등 각 분야에 특화된 기업들로 구성됐다. 이 컨소시엄은 한미약품, 에스티팜, GC녹십자 등 3개 제약회사를 주축 삼아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이 지원하는 형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인 mRNA만 전달물질 안에 주입해 체내 세포가 항원 단백질을 만들게 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기존의 방식과 달리 바이러스를 직접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이 보장되며, 단기간에 개발이 가능하지만 기술 장벽이 높다.

K-mRNA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한미약품, 에스티팜, GC녹십자는 2년 내에 자체적으로 국산 백신 개발 및 생산을 목표로 총 7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자한다. 컨소시엄은 2023년까지 mRNA 백신 대량 생산 체계를 확립하고 10억 도즈 이상 생산해 국내는 물론 글로벌 경쟁력까지 갖춰 ‘백신 주권’을 실현할 계획이다.

컨소시엄 출범 당시 보건복지부의 예산 편성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업계 관계자는 “사전에 백신 개발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이 됐고, 구체적인 지원 방법이나 예산 지원 같은 부분은 아직 논의 중인 단계”라고 말했다.

하지만 실제로 정부가 제대로 지원할지는 미지수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봉민 무소속 의원이 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도 코로나19 국내 치료제‧백신 개발 임상 지원 사업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기준 3차 추경으로 편성한 총예산 1314억원의 21%인 271억원만 집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전 세계에서 화이자, 모더나 이 두 곳만이 mRNA 백신 상용화에 성공했다. 이 두 제약사는 지난해 1월부터 백신 개발에 돌입했고, 그해 12월 2일, 9일 각각 사용허가를 받았다. 1년도 채 되지 않은 기간에 백신을 개발한 것이다.

이러한 성과에는 두 제약사에 대한 각 정부의 도움이 컸다. 화이자는 독일 정부로부터 3억7500만유로(한화 약 5000억원)의 연구 지원금을, 모더나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예산으로 임상 지원을 받았다. 또한 각 정부는 화이자와 모더나가 개발할 백신의 사전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다른 나라와 같이 다각도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백신 주권을 잡기 위해서는 민관협력이 중요한데 한국은 백신 예산 집행률 21%에 그쳤다. 물론 막대한 자금이 들어가는 사안인 만큼 예산 지원도 중요하지만, 미국과 독일처럼 백신 사전 구매 계약을 체결하는 등 손실보상제를 도입해 기업들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 임상 시험 승인이나 긴급 사용 승인 같은 규제적인 측면에서의 지원도 필요하다.

컨소시엄에서 밝힌 2022년까지는 이제 1년 반이 남았다. mRNA의 개발 기간이 짧다고는 하지만 국내 기술력은 다른 선진국보다 3년이나 뒤처진 상황으로 출발점부터 다르다. 출발이 늦은 주자는 더 빨리 뛰어야 제시간에 목표지점에 다다를 수 있듯이, 정부가 그토록 강조하는 ‘백신 주권’을 잡기 위해서는 업계의 노력뿐만 아니라 정부의 더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파이낸셜투데이 이효정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