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금융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은성수 금융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민간의 자체적인 테이퍼링, 민간 스스로 과잉부채와 위험추구 행위의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은 위원장은 6일 은행연합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금융정책 평가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글로벌 금융 기조의 변화가 빨라질 수 있다는 신호가 도처에서 감지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 이후 여진에 대비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위기대응 과정에서 가파르게 증가한 민간부채, 빠르게 상승한 자산 가격은 글로벌 긴축과 맞물려 또다른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면서 “평쥰 지표는 좋아졌지만, 이에 가려진 취약 부분의 어려움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제의 상처가 되지 않도록 위기 대응 과정에서 누적된 후유증을 섬세하게 치유해야 한다”며 “아직 변이 바이러스 등 불확실성이 여전하니, 방역, 실물, 금융 상황의 계기판을 면밀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특히 “과잉부채 등 잠재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관리해 금융안정에 한치의 훼손이 없도록 하겠다”면서 “가계부채 증가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관계부처와 함께 부동산 투지 수요 차단에 주력하겠다. 금리상승 가능성에도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소상공인 금융 지원 프로그램은 민생 체감 경기가 충분히 개선될 때까지 운영하겠다”며 “현재 코로나19로 매출과 신용도가 하락한 자영업자, 중소기업에 대해 면밀히 분석 중이다. 이를 토대로 만기연장, 이자상환 유예 지원, 차주에 대한 촘촘한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은 위원장은 코로나19 이후 경제 정상화와 관련해 “정상화는 단순히 단순히 과거로의 회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 걸음 더 나아간 금융, 즉 넥스트 파이낸스(Next Finance)를 정립하는 것”이라면서 “코로나19 이후 예견되는 경제, 금융, 사회 맥락을 감안해 경제 역동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증가한 유동성이 디지털 그린 뉴딜, 녹색금융, 산업재편 등 차세대 신산업 분야에 더 많이 흘러가도록 해야할 것”이라며 “차별화된 코로나19 충격, 회복속도 격차가 취약계층에 치유하기 어려운 상흔이 되지 않도록 금융의 포용적 기조를 한층 더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빅테크, 핀테크로 촉발된 혁신 흐름을 확산시켜 금융 역동성을 높이고, 경제 활력을 견인하겠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선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