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 및 장기채권(5년물, 10년물) 금리 변화. 자료=한국경제연구원
미국 기준금리 및 장기채권(5년물, 10년물) 금리 변화. 자료=한국경제연구원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 증가로 증시 하락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한편, 실물경기 회복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한‧미 통화정책 비교 : 금융위기 vs 코로나19’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은 미국 신용스프레트 및 기간프리미엄을 증대시켜 국내 금융시장은 물론 실물경기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은 궁극적으로 국내 장기금리, 원‧달러 환율, 위험프리미엄에 상승 충격을 주게 되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이는 다시 외국인 투자 등 해외자본 유출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미 장기금리 상승효과가 금융시장의 경로를 통해 실물시장으로 전이되면서 국내 총생산과 투자 등 주요 거시 펀더멘탈 변수의 위축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윈은 “미 장기금리 상승이 국내 주요 금융지표를 자극해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발생하면 외국인 주식 등 해외 자본이 유출돼 증시 하락과 같은 부정적 영향이 현실화될 수 있다”며 “미 장기금리 상승이 금융시장을 통해 실물시장에까지 파급되면 백신 보급 등 호재에도 불구하고 꾸물거리고 있는 경기회복이 더욱 지연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향후 한국의 통화정책은 기준금리 중심의 단기금리 타켓팅 정책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장기금리 안정화 관리를 위해 더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면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한국의 중앙은행은 비전통적인 통화정책 수단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재정정책에 편중된 경기부양을 펼쳐왔던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주가지수 급락 등 자산가격 하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경제위기 과정에서 늘어난 각 경제주체의 자금조달비용에 대한 부담을 완화해 경기회복을 최대한으로 끌어내기 위해서라도 장기금리를 하향 안정화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선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