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건설기술, 국내 건설기업 간 인식 및 활용 수준 온도차
전통적 기술개발 방식 탈피, 첨단SW 도입·적용 활성화 우대정책 마련
건설산업 ‘모듈러 전환’ 위해 국가 차원 중장기적 전략수립 필요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스마트 건설 생태계 구축을 위해 민간 차원의 기술도입 의지도 중요하지만 정부의 폭넓은 지원책이 우선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1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건설회관에서 ‘스마트 건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혁신 전략 모색 세미나’를 개최하고 정부, 산업, 기업 차원의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용 확산을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이날 손태홍 미래기술전략연구실장은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실태와 기술 전략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이광표 부연구위원과 박희대 부연구위원이 각각 ‘건설 소프트웨어 산업과 스타트업 활성화 방향’, ‘모듈러 건설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주제 발표를 이어갔다.

건산연이 대표적인 7대 스마트 건설기술을 선정해 201개 국내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인지도, 활용도, 활성화 전망, 전담조직 운영 여부, 인력 양성 방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의 규모와 업종에 따라 상당한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7대 스마트 건설기술은 정부 정책을 고려한 ▲BIM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드론 ▲모듈러 ▲3D 프린팅 ▲증강 및 가상현실 ▲지능형 건설장비 및 로봇기술로 선정했다. 조사 결과, 종합-대형 건설기업의 기술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 수준이 높았지만, 종합-중견 및 중소 건설기업과 전문건설기업은 상대적으로 활용 수준이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드론 ▲3D 프린팅 ▲증강 및 가상현실 ▲지능형 건설장비 등의 스마트 건설기술에 대한 응답 또한 종합-대형 건설기업과 기타 기업 간 인지도와 활용 수준에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국내 건설기업들은 스마트 건설기술의 산업 내 활성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높게 평가하는 반면 실제 사업 적용을 위한 도입계획은 보수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종합건설기업의 43.8%, 전문건설기업의 39.7%는 향후 5년 이내에 스마트 건설기술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드론(53.2%), 모듈러(47.3%), BIM(45.3), 3D 프린팅(44.8%)에 대한 활성화 전망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손태홍 실장은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서 건설기업 간에 스마트 건설기술에 대한 기술 간극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기업은 규모와 업종에 따른 차별화된 기술전략의 수립과 시행이 필요하며, 정부 또한 기업 간 차이를 고려하여 세분화되고 차별화된 지원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태홍 미래기술전략연구실장. 사진=건산연

이광표 부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의 스마트화를 위한 건설 소프트웨어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타트업의 활성화를 제시했다.

국내 건설 스타트업은 핀테크 등의 선도 분야와 비교할 때, 아직 초기 단계로 분석됐다. 현시점의 한계점으로는 건설기업의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부족,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시 규제로 작용하는 법·제도적 환경, 건설산업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창업 지원사업, 스타트업 참여가 어려운 정부 R&D 환경 등을 지적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당면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건설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부-기업-산업 차원의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융합 산업 분야 정립 ▲건설형 규제 샌드박스의 도입 ▲기술 도입 및 스타트업 활용시 실질적 우대 정책 등을 통해 건설 스타트업이 산업 내로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스타트업에 대한 민간 투자가 활발하지 못한 만큼 ▲투자 위주의 스타트업 육성 정책을 통해 질적·양적 제고를 선도해야 한다.

기업은 건설 소프트웨어의 적용이 새로운 시대적 흐름임을 인식하고, 건설 스타트업과의 파트너링, M&A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산업은 정부와의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정부의 정책 구사를 지원하고, 산업 차원의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펀드 조성, 창업 지원 멘토링, 네트워킹 서비스 등을 제공해 정부와 기업, 스타트업을 균형 있게 지원해야 한다.

이 부연구위원은 “스마트 기술에 기반한 건설 소프트웨어 산업은 산업 간 융합 이자 신생 산업 분야로, 지원과 육성을 통해 산업 내로 정착시키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산업-기업이 연계된 건설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주택 분야를 중심으로 관심이 재조명되는 모듈러 건설은 공장에서 제작한 패널, 블록형 구조체 등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이다. 현장 투입인력 감소, 생산성 향상, 공기 단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박희대 부연구위원은 “모듈러 건설은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 조달과정 혁신을 위해 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 중 하나이지만, 우리 건설산업이 처한 기술자 고령화, 청년유입 감소, 생산성 침체 등을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 산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주장했다.

모듈러 건설은 건설 생산 프로세스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기획·설계·구매·시공의 가치사슬을 따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 현재 우리나라의 발주제도와 계약방식, 설계기준 등은 모듈러 건설을 도입하기에 제약이 많은 실정이다.

박 부연구위원은 “현재 국내에서 모듈러 건설은 블록형 구조체를 활용한 공동주택 부문에만 집중되어 있다”면서 “산업의 모듈러 전환을 위해 국가 차원의 중장기적 전략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배수람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