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전국 분양물량 5만5616세대, 절반 이상 수도권 집중
“6개월 유예기간, 적용 지역 결정 따라 일정 변동 가능성”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을 오는 6일 결정한다고 밝히면서 건설사들의 움직임이 분주해졌다. 전국 단위 시행이 아닌 투기과열지구 내 동단위 핀셋 지정이 예고됐지만 지역별 분양시장 분위기가 온도차를 보일 것으로 점쳐지면서 물량 밀어내기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다만 재건축·재개발 단지 중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받았거나 6개월 내 입주자모집공고를 낸 경우는 상한제 적용 대상에서 제외돼 일부 분양일정이 조정되는 지역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5일 직방이 이달 분양예정인 아파트를 분석한 결과 전국에서 71개 단지, 총 5만5616세대가 분양에 나선다. 이 중 3만8789세대가 일반분양분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총 3만8789세대가 공급된 것과 비교하면 149%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일반분양물량은 전년 동기(1만6099세대) 대비 141% 증가했다. 6개월 유예기간이 주어짐에 따라 지난달로 예정돼 있던 재건축·재개발 사업지 23개 단지, 2만2668세대 중 12개 단지, 1만5090세대는 이달로 분양일정을 연기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분양물량이 3만6451세대로 가장 많다. 특히 정비사업 물량 비중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도에서는 2만17세대, 인천 1만2687세대, 서울 3474세대가 각각 예정돼 있다. 지방에서는 1만9165세대 공급이 계획돼 있는데 청약열기가 뜨거운 광주, 대구 등 지역에 공급물량이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4613세대), 대구(3389세대), 울산(2791세대) 등 지역에서 신규아파트 공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이달부터 연말까지 10대 건설사에서 공급하는 물량만 총 33개 단지, 2만5610가구에 이른다. 전년 동기(1만3578가구) 대비 88%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사진=연합뉴스

건설사별로는 ▲대우건설(7309가구) ▲GS건설(5172가구) ▲현대건설(3417가구) ▲HDC현대산업개발(2545가구) ▲호반건설(2108가구) ▲포스코건설(2100가구) 등 순으로 집계됐다. 상한제 적용이 유력한 지역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밀집해있어 건설사들이 분양일정을 대거 앞당긴 결과로 풀이된다.

상한제 적용지역 지정을 위한 주거정책심의위원회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토부는 집값 상승 불안요인을 안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규제를 정밀조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는 이에 따라 지역별 분양예정 물량이 일부 변동될 수는 있지만 당분간 물량 공세는 계속될 것으로 분석한다.

특히 상한제 도입이 본격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한 7월 이후 서울 아파트값은 넉 달 때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어 규제 적용지역이 예상보다 더 많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0.06% 올랐다. 9·13대책이 발표된 지난해 9월(1.84%)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다. 특히 분양가상한제 적용이 예상되는 서울 재건축 단지(0.12%)의 오름폭이 컸다.

일각에서는 잠재적 집값 상승 우려 지역 역시 상한제 적용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향후 서울 내 주요 정비사업 추진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비교적 전매제한 기간이 짧고 개발호재 등이 산적한 수도권 정비사업 시장으로 벌써부터 투자수요의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분양가상한제에 따라 로또분양이나 건설사들의 물량 밀어내기 움직임이 더 두드러질 수도 있다고 본다”며 “연말에 분양물량이 늘어나긴 하지만 그래도 올해는 특히 더 많은 것 같다. 유예기간 6개월 안에 분양물량 증가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정비사업 위축에 따른 공급축소 등은 단기적인 관점에서 현실적이지 않다. 장기적으로 내다봤을 때 우려되는 사안으로 봐야한다”고 덧붙였다.

파이낸셜투데이 배수람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