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기 집을 처음 장만하는 나이가 평균 43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마저도 집값의 38%가 대출이었으며, 신혼부부의 경우 거의 절반인 43%가 빚이었다.

24일 국토연구원이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최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4년 내 구매, 분양, 상속 등을 통해 내 생에 첫 집을 마련한 가구의 주택 장만 시점 가구주 평균 연령은 43.3세로, 2017년 43세보다 0.3세 높아졌다. 2016년 41.9세와 비교하면 2년 새 1.4세 높아진 것이다.

소득 하위 가구(소득 10분위 중 1~4분위)에서 최근 4년 내 생애 최초 주택을 마련한 가구주의 연령은 거의 환갑에 이르는 평균 56.7세로 조사됐다.

더 큰 문제는 내 집 마련을 위한 재원이었다. 주택 구매 당시 주택가격 대비 금융기관 주택 대출금 비율(LTV1)은 평균 37.8%로, 2017년 조사 당시 38.2%보다 0.4%p 낮아졌지만, 여전히 40%에 육박했다.

같은 시점 현재 주택가격 대비 금융기관 주택 대출금 비율(LTV3)의 경우 29.4%로 전년(28.9%)보다 오히려 0.5%p 높아졌다.

청년, 신혼부부의 경우 대출 부담이 훨씬 컸다.

청년 가구(가구주 연령 만 20~34세)와 신혼부부 가구(혼인 5년 이하·여성 배우자 연령 만 49세 이하)의 LTV1은 각 45.6%, 43.2%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청년 가구 84.3%와 신혼부부 82.7%는 “주택 대출금이나 임대료 상환이 부담된다”고 답했다.

이를 반영하듯 일반 가구가 현재 주택에서 거주한 기간이 2년이 채 되지 않는 비율이 36.4%인데 비해, 청년 가구와 신혼부부 가구의 경우 80.8%, 69.7%로 높았다. 전·월세 계약 기간에 따라 이곳저곳을 떠돌고 있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 신혼부부들은 내 집 마련의 꿈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가구의 71.9%와 신혼부부 가구의 83.3%는 “내집 마련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일반가구(82.5%)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이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종해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