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비정규직 정규직화…문제는 質, 해법은?

▲ 사진=뉴시스

[파이낸셜투데이=곽진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일자리 창출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작업이 민간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새 정부의 정책에 적극 동참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은 지난 31일 신세계그룹&파트너사 채용박람회에 참석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가장 우선은 양질의 일자리다. 매년 1만명 이상 고용 약속도 지켜나가고 있다”고 일자리 창출에 대한 입장을 공고히 했다.

앞서 신세계그룹은 2014년 ‘비전 2023’을 통해 10년간 17만명 고용 목표를 밝혔다. 그리고 2015년과 지난해 각각 1만4000여명, 1만5000여명을 고용했고 올해는 더 많은 인원을 충원한다는 방침이다.

정 부회장은 또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비정규직을 없애기 위해 10여년을 노력했다”며 “신세계는 파트타임이나 비정규직의 비율이 다른 유통업체에 비해 확실히 적다”고 말했다.

실제 신세계백화점은 비정규직 비율이 높지 않은 편이다. 올해 1분기 신세계백화점 본사 근무 인원 3221명 중 비정규직에 해당하는 기간제 근로자는 28명이다. 전체 근로자의 1%에도 미치지 않는다.

또 지난 2007년 계산원 10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2013년에는 식품 소분‧판매 사원 500여명을 정규직으로 흡수하는 등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정 회장이 언급한 일자리의 질(質)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 이마트 노조는 정 부회장의 발언을 두고 행정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들은 이마트가 나쁜 일자리와 비정규직을 양산한다고 주장했다. 신규 점포가 늘어났지만 그만큼의 정규직 채용이 미미했다는 것이다.

이마트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전체 직원 수는 2만9644명이었지만, 올해 3월 말 현재 직원 수는 2만7942명으로 오히려 1702명이 줄었다. 이 기간 정규직(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은 39명 증가에 불과했다. 일자리가 늘어나지도 않았을 뿐 아니라, 비정규직은 정규직 전환 대신 대부분 감축된 것이다.

특히 신세계그룹 정규직원은 대부분 무기계약직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계약기간은 없지만 처우는 비정규직과 비슷해 그동안 ‘중규직(반만 정규직)’이라 불렸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무기계약직’ 논란에 대해선 정 부회장은 “정부가 보는 시각과 우리가 보는 시각이 다르다면 다시 한 번 살펴볼 것”이라며 적극적인 변화 의지도 내비쳤다.

▲ 정용진(가운데) 신세계그룹 부회장과 이용섭(왼쪽)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최성 고양시장이 31일 오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신세계그룹&파트너사 채용박람회 개막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 부회장은 일자리는 물론 상생 경영에도 앞장서겠다는 입장이다. 마트나 백화점 등을 운영하게 되면 소상공인들과의 마찰은 불가피하다. 이마트는 지역 내 시장과의 협업을 골자로한 상생스토어를 통해 이러한 마찰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이 역시도 상생을 강조하는 새 정부의 코드에 부합한다.

신세계 이마트는 오는 7월 경기 안성의 전통시장 내 ‘노브랜드 상생스토어’를 열겠다면서 골목상권과의 상생 경영에 나섰다.

노브랜드 상생스토어는 지역 내 전통시장인 '안성맞춤시장'에서 현재 영업 중인 중형마트 화인마트와 공간을 나눠 쓰는 방식으로 들어설 예정이다. 이마트는 화인마트가 기존에 내던 보증금과 임차료를 50% 부담한다.

또 노브랜드 상생스토어는 과일‧채소‧수산물‧육류 등 신선식품과 국산주류, 담배 등을 판매하지 않기로 했다.

이와 함께 그동안 인근 상인들의 반발로 연기됐던 부천 신세계백화점 사업도 재추진하기 위해 지역 상인들과의 대화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 부회장은 이 사업과 관련해 “기회가 주어진다면 열심히 해보겠다”며 사업을 계속 추진할 의지를 내비쳤다.

지속성장을 위해 신사업 추진은 필수다. 하지만 신세계그룹과 같은 유통업체는 골목상권 침해라는 벽을 넘지 못하면 신사업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정 부회장은 신세계그룹을 재계 10위로 올려놓는 등 경영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앞으로는 정 부회장의 '상생 경영'이 얼마나 통하느냐에 신세계의 지속 성장 여부가 달려있다고 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