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투데이=부광우 기자] 소득 수준에 따라 대출을 받는 기관이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은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은행권 대출에서 증가세를 보인 반면 저소득층은 고금리의 비은행금융기관 대출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재성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차주 특성별 은행 및 비은행 가계대출’ 자료에 따르면 연소득 6000만원을 초과하는 고소득층의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12월말 101조9000억원에서 올해 6월말 106조원으로 6개월간 4조1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연소득 3000만원 이하인 저소득층의 은행권 가계대출은 같은 기간 144조2000억원에서 144조1000억원으로 1000억원 감소했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한 저소득층은 제2금융권으로 밀려났다. 저축은행과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금융기관에서 저소득층이 받은 가계대출은 같은 기간 23조7000억원에서 24조7000억원으로 1조원 늘어났다. 반대로 고소득층의 비은행금융기관 대출은 1000억원 감소했다.

결국 비은행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는 저소득층은 금리 높은 탓에 가계 부담이 더욱 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최 의원은 분석했다. 정부가 가계부채 구조 개선을 위해 저금리로 내놓은 안심전환대출의 혜택도 대부분 고신용 등급에 돌아간 것으로 조사됐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주택금융공사의 안심전환대출 채권으로 넘어간 4월말~6월말까지 1~3등급인 고신용등급의 은행 가계대출은 10조원 감소했지만, 중·저신용등급(4~10등급)의 가계대출은 1조2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안심전환대출이 적용되지 않았던 비은행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은 같은기간 5조2000억원 늘었다.

최 의원은 “가계부채가 양적으로도 증가하고 있지만 질적으로도 악화되고 있는 문제”라며 “지금이라도 가계부채 총량 관리라는 적극적인 정책 수단과 함께 저신용, 중·저소득층의 맞춤형 가계부채 해소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