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공공기관 운영체제가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우에서 개방형 운영체제(OS)로 바뀐다.

행정안전부는 이달 중 개방형 OS 도입전략을 수립해 오는 10월부터 행안부 일부 인터넷 PC에 개방형 OS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개방형 OS는 소스 프로그램이 공개돼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PC 운영체제다.

개방형 OS는 하반기부터 시작될 예정인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도입된다. 민간 클라우드 기반 가상 PC 환경에서는 PC를 책상에 두지 않고 필요할 때 데이터센터에 접속해 원격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행안부는 개방형 OS가 도입되면 중앙부처 공무원 1인이 사용하는 PC가 행정업무용 PC, 인터넷용 PC 등 총 2대에서 1대로 줄어들게 돼 관련 예산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개방형 OS를 이용하면 연간 약 700억원 이상의 비용이 절감되고, 외국계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PC OS 시장에 국내 기업 진출이 쉬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행안부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기술종료에 따른 각종 보안문제와, 그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 등 부수적인 업무들이 사라지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관련 보안인증 제도를 마련하고 관련 기업에 기존 프로그램 호환성 확보를 위한 예산과 기술을 지원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행정기관에 개방형 OS를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5년으로 지정된 PC 내구연한이 끝나는 2026년에는 대부분의 공무원이 개방형 OS를 사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행안부는 “이번 OS 교체 배경은 최근 윈도우7 기술종료 등 특정기업에 종속된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해당 기업의 기술지원 중단 및 전체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등”이라며 “정부는 기존에도 개방형 OS 도입을 인식해 왔지만, 호환성 문제로 개방형 OS를 추진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최근 국내 기업이 성능과 기술지원체계가 개선된 다양한 개방형 OS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활용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며 “올해 말까지 공공 웹사이트에서 윈도우에 종속된 플러그인을 완전히 제거할 예정이라 도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최장혁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개방형OS 도입을 통해 특정 업체의 종속을 해소하고 예산도 절감하겠다”며 “개방형OS에 대한 정부수요가 관련 국내 기업의 시장참여와 기술투자의 기회가 돼 민간 클라우드 시장 확대와 새로운 소프트웨어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변인호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