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과연봉제를 저지하기 위해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지난 23일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에서 총파업 대회를 열고 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투데이=김승민 기자]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1차 총파업 후 무기한 파업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쟁의행위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 놨다.

금융권에서는 1차 참여율도 저조했던 만큼 이후 수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5일 금융노조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지난 23일 1차 총파업에서 2·3차 총파업을 비롯한 쟁의행위를 진행하고, 시기와 방법 등은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에게 위임한다는 내용의 안건을 가결했다.

나기상 금융노조 대변인은 “지속적으로 쟁의행위를 해나가되, 그 방식은 1차 총파업과 달리 무기한 파업이나 부분 파업이 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무기한 파업은 말 그대로 기한을 두지 않고 진행하는 파업이다.

부분 파업에는 하루 중 일정 시간을 근무하지 않거나 전 조합원이 같은시간에 점심시간을 사용하는 방식 등이 포함된다. 은행은 오전 11시에서 오후 2시까지 고객이 몰리기 때문에 이 시간대 업무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직원들이 돌아가며 식사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금융노조는 34개 지부 위원장들을 중심으로 향후 투쟁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향후 쟁의행위가 진행되더라도 시중은행의 참여 열기는 미지근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노조에는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한국감정원 등 비은행 기관도 속해있지만 주축은 은행들이다. 신한·우리·SC제일·KEB하나·KB국민·한국씨티·NH농협·IBK기업 은행 등 주요은행 전부가 금융노조 소속이다.

1차 총파업에서도 시중은행의 참여율은 저조했다.

금융노조는 총파업 참가자가 7만5000명이라고 발표했다. 반면 고용노동부가 추산한 은행권의 참가자는 1만8000명이었다. 금융노조는 전체 참가 인원을 집계했고 고용부는 은행권 참가자만 계산한 점을 고려하더라도 양측의 입장차가 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대형 시중은행의 참가율은 3% 수준에 그쳤다. 이들 은행 중 총파업에 앞서 마련한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을 가동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특히 신한은행은 조합원 1만명 중 50여명만이 참여하는 등 참여율이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고용부에 따르면 기업은행과 농협은행에서 각각 4000명, 3700명이 참여해 이들 은행의 참여율이 두드러졌다.

기업은행은 지난 5월 노조의 동의 없이 이사회 의결로 성과연봉제를 도입해 성과연봉제 강압을 둘러싼 논란이 일었다. 이 때문에 타 은행에 비해 성과연봉제에 반발하는 분위기가 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공장은 직원들이 동시에 기계를 멈추는 방식으로 파업할 수 있지만 은행은 사정이 다르다”며 “고객의 민원에 가장 민감한 업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은행에서 1차 총파업보다 센 강도의 쟁의행위가 진행될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모든 시중은행을 회원사로 두고 있는 은행연합회는 성과평가에 따라 동일 직급 간 임금 격차를 최대 40%까지 벌리는 내용의 ‘성과연봉제 가이드라인’을 회원사에 배포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