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연준 인사 ‘금리 인하’ 시사에 반등
GPU 수출 규제 완화 가능성도 훈풍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예상보다 빨리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발언이 나오면서 뉴욕증시가 강세로 마감했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일부 GPU에 대한 중국 수출 통제 완화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까지 겹치며 투자 심리를 끌어올렸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93.15p(1.08%) 오른 4만6245.4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64.23p(0.98%) 오른 6602.9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95.03p(0.88%) 상승한 2만2273.08에 각각 마감했다.
존 윌리엄스는 이날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한 기념 연설에서 “최근 연준의 (금리 인하) 행동으로 다소 덜해지긴 했지만, 현재 통화정책 수준이 완만하게 긴축적이라고 본다”며 “따라서 가까운 시기에 기준금리를 추가 조정할 여지가 아직 남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시장은 윌리엄스처럼 영향력 큰 연준 위원의 발언에 12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을 키웠다. 윌리엄스 총재가 공개시장운영 업무를 수행하는 뉴욕 연은을 책임진다는 점에서 월가에서는 그의 발언이 단순히 개인 의견에 머무르지 않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조율을 거쳤을 것으로 받아들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 금리 선물 시장은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할 확률을 전날 39%에서 70% 이상으로 급격히 높여 반영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소비지출이 증가할 수 있는 수혜주가 일제히 상승했다. 홈디포(3.29%), 스타벅스(3.30%), 맥도널드(1.71%) 등이 주가 반등을 이끌었다.
AI 대표주인 엔비디아는 장중 4% 넘게 급락했다가 회복했으나 결국 0.97% 하락 마감했다. 이날 블룸버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H200’의 중국 판매 허용 여부를 내부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은 2022년부터 첨단 GPU의 중국 수출을 제한해왔으나, 일부 제품에 대한 규제 완화 가능성이 열리면서 반도체·AI 관련주는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장중 2.42%까지 올라갔다.
파이낸셜투데이 박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