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2030년까지 국내 125조 투자…삼성·SK·LG 등 5년간 750조 ‘한국경제 총력전’
현대차그룹이 2030년까지 국내에 125조2000억원을 투입한다. 그룹 역사상 최대 규모다. 삼성·SK·LG·한화 등 주요 대기업의 기존 투자 계획까지 합치면 향후 5년간 총 750조원 이상이 국내에 투입될 전망이다.
◆ 현대차 “AI·로봇 등 미래산업 육성에 투자 집중”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향후 5년간 125조2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직전 5년(2021~2025년) 투자액 89조1000억원보다 36조1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연평균 투자액도 17조8000억원에서 25조원 수준으로 약 40% 확대된다.
이번 투자는 인공지능(AI)·로봇 등 신사업과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 조성, 국내 생산기반 강화에 초점이 맞춰졌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1차 협력사가 부담할 미국 관세 전액도 지원하기로 했다.
정 회장은 “AI와 로봇 등 신산업에서 글로벌 선두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도 힘을 보태달라”며 “현대차그룹의 노력이 국가 경제 활력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전해진 대규모 투자 발표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미 투자에 치우치기보다 국내 투자를 강화해달라”고 요청한 데 대한 즉각적 화답으로 평가된다.
◆ 재계, 미래산업 중심 국내 투자 확대
이날 회의에는 주요 그룹 총수들이 함께 참석해 국내 투자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향후 5년간 매년 국내에서 6만 명을 신규 고용하고, 국내 시설 투자도 더욱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AI 데이터센터는 수도권 외 지역에 설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028년까지 계획했던 128조원 국내 투자가 반도체 수요 증가와 공정 고도화로 계속 확대되고 있다”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만도 약 600조원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 역시 “향후 5년간 100조원 투자 중 60%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술 개발 및 확장에 투입해 협력사 성장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한화, HD현대 등 주요 그룹도 참석해 국내 산업 생태계 강화와 일자리 창출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히며 ‘한국경제 총력전’의 의지를 함께 다졌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