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국정자원 화재 여파 위기관리 가동…금융거래 2차 피해 촉각

2025-09-28     최정화 기자
신한은행 전경. 사진=신한은행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기관 서비스가 일부 중단되면서 금융권과 공공 서비스 전반에 2차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신한금융그룹은 발 빠르게 위기대응 체계를 가동해 고객 불편 최소화에 나섰다.

신한금융은 화재 직후인 지난 27일 그룹 리스크 총괄 임원(CRO) 주재로 위기관리협의회를 열고 은행과 카드, 증권, 저축은행 등 주요 계열사와 대응 상황을 실시간 점검하고 있다고 28일 전했다. 

주민등록증 관련 비대면 실명인증, 신분증 진위확인 등 정부 전산망을 거쳐야 하는 서비스 중단 사실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공지하고,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대체 인증수단을 안내하는 등 혼란 완화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이달 29일 영업점 업무 재개를 앞두고 현장에서 발생할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콜센터·창구 대응 방안을 사전에 마련했다. 

그룹 차원에서는 전산 장애가 금융거래 전체 중단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시스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해킹 등 2차 사고를 막기 위한 보안 비상체계도 가동했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재해복구센터 가동 프로세스도 재점검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이번 사태 해결을 위해 금융당국 등 정부 관계 기관과 적극 협조해 나갈 것”이라며 “어떤 상황에서도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며 고객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 화재로 주민등록증 실명인증, 신분증 진위확인, 정부24·국민신문고 등 민원 서비스와 부동산 거래 신고 시스템, 재정정보 시스템 등 647개 정부 업무 시스템이 중단됐다. 우체국 금융·우편 서비스도 마비되자 정부는 복구 우선순위를 이들 생활 밀착형 서비스에 두고, 과태료 등 불이익 면제 조치를 검토하는 등 긴급 대책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정부 전산 의존 리스크’를 드러냈다고 지적한다. 금융권의 고객 실명확인과 대출 심사, 계좌 개설 등 핵심 업무 상당수가 행정안전부 전산망을 경유하는데, 주민등록증 진위확인이나 가족관계·부동산 서류 검증 등이 막히자 다수 은행의 전자거래 절차가 동시에 차질을 빚었다는 것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민등록증 실명확인처럼 필수적이고 공공성이 강한 업무가 정부 전산망에 집중돼 있어, 장애 발생 시 금융권이 동시 타격을 입는다”며 “은행권 차원의 위기대응뿐 아니라 정부와 금융당국의 상시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