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AI 혁신·피드형 도입 대변신...반응은 ‘극과 극’

챗GPT 도입에 긍정 평가..AI 활용 편의성 증대 인스타그램과 유사한 피드형 친구 탭에는 반발 일부 온라인서 ‘자동 업데이트 끄는 법’도 공유 반응 양극화에 체류 시간·수익 증대 여부 불투명

2025-09-25     정유라 기자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23일 경기도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이프 카카오 컨퍼런스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출시 15년 만에 최대 규모의 개편을 단행하는 카카오톡에 이용자 반응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AI와 소셜 기능 강화를 내세워 종합 플랫폼으로 서비스 다변화에 나서는 모습이지만 무분별한 변화에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카카오는 지난 23일 경기도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개최한 ‘이프 카카오’ 컨퍼런스를 통해 카카오톡 업데이트 주요 내용을 공개했다. 이번 개편은 카카오톡과 AI의 결합으로 이용자들의 일상을 혁신한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가장 높은 관심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변화는 바로 챗GPT의 탑재다.

카카오톡 이용자는 별도 앱 설치 없이 채팅탭 상단의 챗GPT 버튼을 눌러 곧바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123. 챗GPT와 주고받은 대화나 생성된 콘텐츠를 대화방에서 바로 공유할 수 있어, 일상 대화 중에도 AI 기능 활용이 한층 편리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챗GPT의 단순 도입을 넘어 카카오맵·선물하기·멜론 등 카카오 주요 서비스와 연동되는 카카오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번에 적용된 GPT-5 모델은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처리와 생성, 고도화된 컨텍스트 인지 능력까지 갖추고 있어 다양한 연령대 이용자가 자연스럽게 AI 기능을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업데이트 소식이 알려지면서 반감을 샀던 친구 탭 UI의 대대적 변화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상황이다.

첫 번째 탭인 ‘친구’ 화면은 인스타그램과 유사한 피드형 인터페이스로 개편된다. 기존의 전화번호부 방식 친구 목록이 사라지고 등록한 친구들의 일상 콘텐츠를 스크롤하는 방식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처럼 메신저 본연의 기능에서 피드·콘텐츠 중심 구조로 대폭 변화하는 점에 대해 사용자들은 복잡해진 UI에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단순한 메시지 기능만 제공하는 라이트 버전을 만들어 달라”, “메신저 본연의 역할에 집중해 달라”, “이럴거면 인스타그램을 하지 카카오톡을 할 이유가 없다” 등 냉담한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해제하는 방법을 공유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글.  캡쳐=정유라 기자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자동 업데이트를 차단하려는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자동 업데이트를 해제하는 방법을 공유하는 게시글들이 빠르게 퍼지고 있는 실정이다.

AI 기능 도입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친구 탭 피드형 전환 등 일부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가 공존하면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내세운 전략에 대해서도 많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정신아 대표는 기존 목적형 메신저에서 탐색형 서비스로 진화하는 카카오톡을 통해 하반기 트래픽 증가와 함께 수익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했지만 이러한 변화가 실제로 비즈니스 성공으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외에도 채팅방 폴더, 메시지 미리보기, 메시지 수정, 자체 AI 서비스 카나나를 활용한 보이스톡 녹음·요약, 숏폼 기능 등 다양한 개편안들이 주목받지 못한 채 묻힐 수 있다는 우려의 시선도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카오는 이번 개편을 긍정적으로 평가해 달라는 입장이다.

정신아 대표는 “오늘을 시작으로 카카오톡의 대화창은 더 많은 것이 실현되는 가능성의 창이 될 것”이라며 “‘카톡 해’라는 말은 이제 단순히 ‘메시지 보내’라는 뜻을 넘어 카카오 AI를 통해 더 큰 세상을 경험한다는 새로운 의미로 해석될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업데이트 후 일부 이용자의 불편이 있을 수 있겠지만 이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정유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