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END 구상’...“북한과의 교류·관계 정상화 통한 비핵화” 천명
이 대통령, “한반도 비핵화, 교류를 통한 관계 정상화 노린다” 이 대통령, “대한민국, 국제사회에 완전히 복귀”
이재명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 및 비핵화 문제와 관련한 ‘END 구상’을 밝혔다. 한반도의 냉전을 끝내고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기 위한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는 ‘이니셔티브 구상’이다.
이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 7번째 순서로 나서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라는 단계적 해법이 담긴 한반도 평화 구상을 발표했다.
◆이 대통령, “한반도 비핵화, 교류를 통한 관계 정상화 노린다”
이 대통령은 ‘교류’와 ‘관계 정상화’를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는 유엔 창설 80주년이자, 한반도 분단 80주년이다. 새로운 도전과 함께 미완의 과제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며 “민주 대한민국은 평화공존, 공동 성장의 한반도를 향한 새로운 여정을 시작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그 첫걸음은 남북 간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고, 상호 존중의 자세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대한민국 정부는 상대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 행위를 할 뜻이 없음을 다시 한번 분명하게 밝힌다”고 했다.
이어 “이 세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우선 남북 간 불필요한 군사적 긴장과 적대 행위의 악순환을 끊어내고자 한다”며 “취임 직후 대북 전단 살포와 대북 방송 중단 등의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한 것도 같은 이유다. 앞으로 우리 정부는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의 길을 일관되게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가장 확실한 평화는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라면서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 즉 ‘END’를 중심으로 한 포괄적인 대화로 한반도에서의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종식(END)하고, '평화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교류와 협력이야말로 평화의 지름길이라는 사실은 굴곡진 남북관계의 역사가 증명해 왔던 불변의 교훈”이라며 “남북 간 교류·협력을 단계적으로 확대함으로써, 한반도에서 지속 가능한 평화의 길을 열어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한반도 평화는 남북은 물론 국제사회가 함께 만들어 가는 게 중요하다”며 “남북관계 발전을 추구하면서, 북미 사이를 비롯한 국제사회와의 관계 정상화 노력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비핵화와 관련해서도 이 대통령은 “비핵화는 엄중한 과제임에 틀림없다”면서도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렵다는 냉철한 인식의 기초 위에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 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핵과 미사일 능력 고도화 중단부터 시작해, 축소의 과정을 거쳐 폐기에 도달하는 실용적, 단계적 해법에 우리 국제사회가 지혜를 모아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 “대한민국, 국제사회에 완전히 복귀”
이 대통령은 12·3 계엄과 관련한 민주주의 복귀를 선언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겨울, 내란의 어둠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들이 이뤄낸 빛의 혁명은 유엔 정신의 빛나는 성취를 보여준 역사적 현장이었다”며 “대한민국이 보여준 놀라운 회복력과 민주주의의 저력은 대한민국의 것인 동시에, 전 세계인의 것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향한 여정을 함께할 모든 이들에게 ‘빛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같은 문제를 겪는 모든 국가가 함께 머리를 맞대는 ‘다자주의적 협력’을 이어갈 때 평화와 번영의 밝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유엔의 기본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더 협력하고, 더 신뢰하고, 더 굳게 손잡아야 한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다자주의적 협력의 길에 대한민국이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AI) 안보 기술에 대한 국제사회의 적극적 협력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다음 달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APEC AI 이니셔티브’를 통한 AI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자 한다”며 “‘모두를 위한 AI’가 국제사회의 뉴노멀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나라의 국민이 협력하며 전 지구적 도전을 함께 헤쳐 나가는 미래가 꿈 같은 장밋빛 전망처럼 들릴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결코 불가능하지 않다”며 “민주주의의 위기 앞에서 대한민국 국민이 들었던 오색빛 응원봉처럼, 국제사회와 유엔이 인류의 미래를 밝힐 희망의 등불을 함께 들어달라”고 호소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