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감원장 “금융권, 안정성 탈피·생산적 금융 역할해야”
“고령화 시대에 대비해 부동산에 묶인 가계 자산을 연금 및 신탁 상품으로 유동화해야 한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3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국내 연구기관장들과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에는 이항용 금융연구원장,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등 주요 연구기관장들이 참석했다.
이 원장은 "가계 자산의 64%가 부동산인 상황에서 은퇴 시 현금이 부족할 수 있다"며 금융권이 주택연금·신탁상품을 통해 부동산 자금을 소비와 투자로 연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고령화에 따른 건강관리 수요를 노인복지주택 사업 및 자본시장 투자와 연계해 자본시장 성장과 복지 증진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신성장 산업 육성을 위한 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자금 공급의 중요성도 피력했다.
금융감독원은 부동산에 쏠린 자금이 혁신 성장 부문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금융권과 소통하고 관련 제도를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금융권에는 “안정성 위주 영업 관행에서 벗어나 필요 자금을 적기에 공급하여 경제의 혈맥 역할을 담당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연구기관장들은 인구 감소를 고려할 때 부동산 중심 금융은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금융사의 경쟁력과 건전성에도 부정적일 수 있다는 점에 공감대를 표했다.
또한 주식시장 ‘코리아 프리미엄’ 실현을 위해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기업법제 선진화 등 자본시장 혁신이 중요하며, 모험자본 투자와 기업 대출이 실질적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