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은행권 부실채권, 16조6000억원...비율 0.59%
올해 상반기 은행권 부실채권 규모가 지난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인 16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 1분기 은행권 부실채권 규모가 5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힌 바 있다.
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6월말 국내은행 부실채권 현황’에 따르면, 은행권 부실채권은 16조6000억원으로 1분기 말의 16조6000억원과 유사한 수준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기업여신 13조1000억원, 가계여신 3조2000억원, 신용카드채권 3000억원 순이다.
6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0.59%였다.
구체적으로 상반기 말 기준 대손충당금 잔액은 27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28조4000억원)보다 약 1조원 감소했다. 이에 따라 대손충당금적립률(165.5%)도 전 분기 말(170.5%)보다 5.0%p, 지난해 동기(188.0%)보다 22.5%p 줄었다.
올해 2분기 중 신규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6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4000억원 늘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4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에 비해 4000억원 증가했다. 대기업(4000억원)은 전 분기에 비해 1000억원 줄었고, 중소기업(4조4000억원)은 5000억원 늘었다.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1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2분기 중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6조5000억원으로 전 분기에 비해 2조원 늘었다. 상·매각(4조1000억원, 매각 2조5000억원, 대손상각 1조6000억원), 여신 정상화(1조1000억원), 담보처분을 통한 여신회수(1조원) 등이다.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72%로,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 가운데 대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04%p 하락한 0.41%, 중소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13%p 상승한 0.90%를 나타냈다.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32%로, 전 분기 말과 동일했다.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0.23%)이 0.01%p 늘었고, 기타 신용대출 부실채권(0.61%)은 0.01%p 줄었다. 신용카드채권 부실채권비율(1.93%)은 0.08%p 감소했다.
금감원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잔액과 부실채권비율은 반기말 연체정리 확대 등 영향으로 전 분기말 수준을 유지했다”며 “대손충당금적립률은 하락했으나 과거에 비해서는 여전히 양호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부실채권 관리와 대손충당금 적립 강화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