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분할’ 증권신고서 수정…“박스권 돌파는 언제”
금감원 요청에 인적분할 증권신고서 정정 “생산·개발 분리 강조, 이해상충 우려 막아야” 투자자 우려에 주가 박스권…재상장 연기 가능성도
인적분할을 앞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금융감독원 요청에 따라 증권신고서를 정정하며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와의 이해상충 가능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를 통해 박스권에 갇혀있던 주가가 반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금감원 지적사항 반영해 신고서 보완
4일 증권가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일 금감원 요청에 따라 분할 증권신고서를 정정 공시했다.
정정된 신고서에는 금감원이 지적한 삼성바이오에피스와의 인적분할 필요성과 목적, 분할 후 사업 전망 등이 보완됐다. 인적분할을 통해 생산과 개발 영역을 분리해 글로벌 제약사 고객들의 우려를 덜어낸다는 의미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 사업이 성장할수록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 고객들인 글로벌 신약 개발사들이 방화벽 구축에도 불구하고 이해상충에 대한 우려를 지속 제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분할회사는 100%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 투자 지분을 관리하는 투자사업부문을 분할해 CDMO 사업과 바이오의약품 개발·상업화 사업을 분리하고자 본 분할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글로벌 제약사들이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같은 회사로 보는 경우가 있어 수주 계약 논의 자체가 어려웠다고도 했다. 론자, 우시, 후지필름 등 경쟁 대형 CDMO 업체 중 신약개발까지 나서는 경우는 흔치 않다.
◆추가 지배구조 개편 안 한다 확약
투자자와 금융기관이 우려하는 추가 지배구조 개편도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주주가치 보호를 위해 분할신설회사 설립등기일로부터 5년간 삼성바이오에피스 상장을 추진하지 않을 것을 확약했다”며 “지주회사-자회사 관계 형성이나 중복상장에 해당하는 행위, 인적분할 목적에 반하는 지배구조 개편 등을 하지 않겠다”고 설명했다.
◆재상장 일정 한 달 연기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기업분할은 주주가 기존법인과 신설법인 주식을 지분율에 비례해 나눠 갖는 인적분할 방식으로 진행된다. 통상 물적분할보다 기존 투자자 피해 우려가 낮은 방법으로 평가된다.
다만 한국거래소가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분할이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 분할 후 그룹 지배구조 개편 가능성 등을 폭넓게 검토하면서 예비심사가 한 차례 연기됐다. 이 때문에 16일 예정이던 삼성바이오로직스 임시주주총회도 밀렸다.
수정된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7월 29일 주주리스트를 확정해 10월 17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기업분할을 의결한다. 이후 11월 24일 재상장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한 달 연기됐지만 재상장 과정에서 일정이 연기되는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닌 데다 거래소 예비심사가 통과된 만큼 앞으로 분할이 큰 문제 없이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주가 반등세, 임원진 자사주 매입도
정정신고서 제출 후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는 소폭 상승했다. 지난 3일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1.5% 오른 101만원을 넘어섰다.
그간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는 5월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9.4% 하락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 삼성바이오에피스 상장에 따른 주주가치 훼손 가능성, 그룹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우려가 나오면서다.
현재 주요 임원진이 직접 주식 매입에 나서며 주가 박스권 돌파에 나서고 있다. 존림 대표이사와 유승호 경영지원센터장은 지난달 처음으로 자사주를 매입했다.
공시에 따르면 존림 대표는 지난달 28일과 29일 이틀에 걸쳐 각각 200주씩 총 400주를 매입했다. 취득 단가는 28일 101만8000원, 29일 100만2500원으로 총 4억4100만원 규모다. 유승호 부사장도 주당 100만2500원에 200주를 매입해 약 2억1000만원을 투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불확실한 대외 환경 속에서도 CEO와 CFO가 책임경영 차원에서 자사주를 매입했다”며 “주주와 시장 신뢰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향후 인적분할 일정에 대해서는 “금감원 검토 시간을 감안해 일정을 수립했다. 추가 요청이 있을 경우 최대한 빠르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