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1강2중’ 고착…혁신·포용 금용 ‘뒷걸음질’ 우려
4인뱅 출범 지연될수록 시장 진입 장벽↑ 당국, 과점 해소 숙제
인터넷은행(인뱅) 3사(카카오·케이·토스)의 1강 2중 구도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4인뱅 인가마저 지연되며 국내 인뱅 시장의 과점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과점 체제가 장기화될 경우 금융 혁신 동력 약화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 선택권이 축소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카카오뱅크의 고객 수는 2545만 명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어 2, 3위를 다투고 있는 케이뱅크와 토스뱅크가 같은 기간 각각 고객 수 약 1400만 명과 1055만 명을 기록했다.
이에 인뱅 시장은 기존 과점 체제 내에서 3개 은행 간의 순위 다툼에 불과하며 이들이 시장을 나눠 갖는 구조가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 포용금융 사각지대 개선 제한적
인뱅 3사의 독주 체제가 공고해지면서 포용금융 영역에서의 과제가 요구되고 있다. 3개 은행 모두 신용도가 양호한 2030 직장인들을 주요 타겟으로 하고 있어, 중·저신용자나 소상공인·중소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인뱅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2022년 6월 기준 ▲카카오뱅크 22.2% ▲케이뱅크 24% ▲토스뱅크 36.3%로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제한적이었다.
최근 들어 각 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나서고 있으나, 인뱅 3사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포용금융 사각지대 해소에 대한 개선 여지가 크다는 평가다.
◆ 혁신 동력 약화 우려
과점 체제의 지속으로 금융 혁신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초기 시장 선점을 위해 벌였던 파격적인 금리나 혁신적인 서비스 출시 빈도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인뱅들이 출범 초기 고객 유치를 위해 시중은행보다 1~2%포인트 높은 파격 금리를 제공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가 예금금리를 연 3%대로 조정하는 등 시중은행과의 금리 격차가 크게 줄어든 상황이다. 이는 각 은행이 초기 ‘출혈 경쟁’ 단계를 지나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에 더욱 집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인터넷은행들이 이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으면서 과거와 같은 파격적인 조건 제시보다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더 신경 쓰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인뱅 3사 포용 점진 확대
인뱅 3사는 각자 방식대로 포용금융 강화와 혁신 서비스 확대를 통해 중·저신용자와 소상공인, 외국인 등 다양한 계층으로 금융 서비스 대상을 확장하는 모습이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한 해 2조5000억 원 이상의 중·저신용 대출을 공급했으며, 이는 전 은행권을 통틀어 가장 큰 규모다.
또한, 서민금융지원을 강화하고 포용금융 확대하기 위해 올해 4월 신규 정책서민금융상품으로 ‘햇살론뱅크’ 취급을 개시했으며, 올해 3분기에는 ‘새희망홀씨’ 상품 취급을 개시할 예정으로 향후 서민금융 상품 지속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부동산담보대출을 제공 중인 케이뱅크는 저렴한 금리로 소상공인의 금융 혜택을 강화하는 한편, 지역신용보증재단과 협업해 지역 소상공인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케이뱅크의 올해 1분기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35%로 인뱅 3사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토스뱅크는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20만 명에게 비대면계좌 개설을 지원했으며,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피해 고객에게 은행이 직접 보상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고 있다.
인뱅 3사가 이같이 지속적으로 상생금융을 실천하고 있지만, 인뱅 시장은 금융당국의 균형 잡힌 정책적 개입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이에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달 12일 ‘4인뱅 인가 심사 설명회’에서 포용성 부문을 더욱 강화하고, 기존 은행과 차별화된 혁신 서비스 제공 능력을 중요하게 평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이미 높아진 시장 진입 장벽을 고려할 때 4인뱅이 출범하더라도 기존 3개 은행의 아성을 위협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단순히 새로운 은행 인가에 그치지 않고 인뱅 3사가 지속적으로 혁신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