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美 트럼프 의약품 200% 관세 예고에 고민 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약품에 대해 최대 200%의 초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이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에 앞서 최대 1년 6개월의 유예기간을 주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일부 제약업체들은 미국 기업 인수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현지 생산 비중을 늘리는 방안 등 대응책을 구체화하는 모습이다.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상을 초래할 수 있는 초고율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당국 간 협상을 통해 타협안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의약품에 대해 최대 1년 6개월의 유예기간을 두고 20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예고했다.
바이오 업계 1위인 셀트리온은 이와 관련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을 기간별로 준비했다며 현지 기업 인수 가능성 등을 소개했다.
셀트리온은 9일 주주 서한을 통해 단기 전략으로는 “2년분의 재고 보유를 완료했고 향후 상시 2년분의 재고를 보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기 전략으로는 미국 판매 제품을 미국 현지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현지 CMO(위탁생산) 파트너와 계약을 완료했다고 전했다.
장기 전략으로는 미국 생산시설 보유 회사의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 관세 부과 전 외국에 있는 제약사들이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1년에서 1년 반 정도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어 해당 기간 현지 생산 비중을 늘려나가겠다는 전략으로 받아들여진다.
셀트리온 측은 “미국 내 의약품 관세 정책이 어느 시점에 어떤 규모로 결정되더라도 회사에 미치는 영향이 없도록 내년 말까지 준비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SK바이오팜 측은 미국 내 FDA 승인을 받은 생산 파트너를 확보하고 있어 관세가 확정될 경우 미국 생산으로 전환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는 캐나다 소재 위탁생산(CMO) 업체 등을 통해 미국에 수출된다. 자체 공장을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위탁생산을 이용하는 만큼 향후 캐나다 등에 대한 관세 부과가 확정되면 미국 현지 CMO 업체를 이용하는 등 조치를 검토하겠다는 설명이다.
일부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는 트럼프 대통령 관세 관련 발언이 수시로 바뀌는 만큼 이달 말쯤 관세율과 유예기간 등이 확정된 후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의약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는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상을 초래해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미국민의 반발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적절한 타협안이 마련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정부의 발표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도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대책은 공개하지 않았다.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기업 삼성바이오에피스도 관세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녹십자는 관세 부과가 즉시 이행이 아니라는 점에서 미국용 재고 확보를 단기적으로 확보하며 대응에 나섰다.
한미약품, 대웅제약, 에스티팜 등 업체들도 현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어떤 영향이 있을지 면밀히 알아보고 대응하고 있다.
업계는 당국이 한미 간 우호 관계 유지와 고품질 한국 의약품의 미국 내 물가 안정 기여 등을 제시하며 절충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