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서울우유 ‘납품 중단’ 책임두고 공방전

홈플러스 “회생채권 변제·현금 선납 요구” 서울우유 “전액현금 요구 없어…본질 호도”

2025-04-07     신용수 기자
홈플러스와 서울우유협동조합(서울우유)이 납품 중단에 따른 책임을 두고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20일 서울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의 우유판매대. 사진=연합뉴스

홈플러스와 서울우유협동조합(서울우유)이 납품 중단에 따른 책임을 두고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시작한 만큼 채권의 미지급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서울우유는 회생채권의 전액현금 요구를 한 바가 없다며 반박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7일 입장문을 통해 “서울우유가 회생채권 전액 즉각 변제, 물품 대금 현금 선납 조건을 요구했다. 홈플러스가 조건을 들어주지 못하자 상품 공급을 중단하거나 거래 규모를 축소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서울우유가 업계 내 주도적 지위를 바탕으로 물품 대금을 현금으로 선납해야만 공급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납품을 중단해 원유를 공급하는 수많은 축산농가들이 원유 물량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각종 부자재를 공급하는 2차협력사들의 매출도 줄어들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일부 대기업과 주요 이해단체들이 (홈플러스의)정상화에 도움을 주기보다 자신의 몫만 우선 챙기려다 보니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며 비판했다.

서울우유는 대금 지급 절차를 두고 홈플러스와 충돌해 지난달 20일부터 홈플러스 납품을 잠정 중단했다. 다만 서울우유는 회생채권을 전액 현금으로 달라는 요구를 하지 않았다며 반박했다.

서울우유 측은 “(납품 중단은)미정산 우려(신용리스크)로 인한 불가피한 결정이다. 농민들 피해 부분을 부각시켜 본질과 다르게 여론을 형성하는 것은 유감스럽다”라며 “서울우유 낙농조합원들은 현재도 원유를 정상적으로 납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회생채권을 전액 현금으로 달라는 요구를 홈플러스에 하지 않았으며 회생절차개시 이후에 발생되는 공익채권에 한해 어음이 아닌 현금 지급을 요청했다"'며 "이전에도 일부 선납 사례가 있었기에 이를 토대로 제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일방적으로 (홈플러스에)납품을 중단한 사실은 없으며 향후 원만한 합의가 이뤄질 경우 공급 재개를 위한 협의에 나설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