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 尹 파면 후 비상체계 가동..."변동성 최소화, 50조원 동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가 겹치면서 금융시장이 출렁이자 금융당국이 비상체계를 가동했다.
4일 오후 1시 30분경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선 상호 관세 부과 조치와 탄핵 선고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했다.
F4 회의에서는 금융시장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황별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 시 10조원의 증시안정펀드와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포함한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기로 결정했다.
금융당국은 주말에도 시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필요할 경우 장·차관 주재 간부회의 및 시장 점검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후 김 위원장과 이 원장은 각각 금융위·금감원 간부회의를 소집해 면밀한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을 주문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날 오후 3시 금융위 간부회의를 열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시장을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7일까지 예정된 일정을 모두 비우고 금융시장 점검과 비상 대응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오후 2시 30분 금감원 간부들과 긴급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대외 환경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전 직원이 비상대응체계를 유지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관세 충격이 큰 기업들의 장·단기 자금 조달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나스닥 급락 등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할 것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고율 관세 충격에 노출된 주요 산업의 국내외 공급망, 생산·수출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들의 사업 재편 필요자금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지방 중소 협력업체의 어려움을 세밀히 점검하고 관계 기관과 공조를 강화할 것”을 지시했다.
헌법재판소는 앞서 이날 오전 11시 22분 재판관 8인의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한다고 선고했다. 이에 따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커졌다.
파이낸셜투데이 박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