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파면] 유통업계, 불확실성 해소에도 트럼프 관세·소비위축 우려

尹 탄핵정국에 고환율·고물가로 소비심리 위축 美관세 25% 부과…수입 원재료 가격 인상 예고 수출 위주 업체 타격…뷰티·푸드 매출 부담 불가피

2025-04-05     신용수 기자
탄핵정국에서 뚜렷한 소비위축이 나타난 만큼 유통업계는 소비심리 회복을 기대하는 모습이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사진은 지난달 28일 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본점에서 시민들이 쇼핑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국 사회를 뒤흔들었던 탄핵정국이 드디어 마무리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되면서 정치 불안이 대거 해소됐다. 탄핵정국에서 뚜렷한 소비위축이 나타난 만큼 유통업계는 소비심리 회복을 기대하는 모습이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헌법재판소는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결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이어진 탄핵정국은 마무리됐다.

유통업계에서는 정국 혼란의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데 안도하는 분위기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입장문을 내고 “경제적 불확실성을 걷어내는 데 온 국민이 힘을 하나로 모아나가야 할 때”라며 “지금껏 고양된 정치적 열기를 경제로 돌려 안심하고 생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중앙회도 논평을 통해 “탄핵 인용 결정이 분열된 국론을 하나로 모아 대한민국이 새로운 성장의 길로 들어서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이제는 정치적 대립과 갈등을 봉합하고, 한국경제의 위기 극복과 역동성 회복을 위해 국민 모두의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유통업계와 소상공인단체들이 소비 회복을 기대하는 것에는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 소비심리가 회복됐던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2016년 10월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정국이 본격화되면서 소비자심리지수는 102.7에서 2017년 1월 93.3까지 하락했다. 이듬해 2월에는 94.4로 반등했고 3월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 직후에는 96.7, 4월에는 101.2를 기록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을 넘으면 소비자들이 경제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이번에는 과거와 다를 것이란 인식이 나온다. 단순히 떨어진 소비자심리지수뿐만 아니라 고금리, 고환율, 고물가가 장기화돼 소비심리의 반등을 장담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정치적 불안감이 해소된 것은 사실이지만 소비심리 회복과는 큰 관계가 없을 것 같다”라며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부과되면서 식품 물가 인상이 강해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상호관세에 따라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들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식품기업들 대다수가 원재료를 수입해 식품 등을 제조한다는 점에서 관세 인상은 원가와 이익에 큰 영향을 끼친다. 식품업계는 아직까지 관세 인상에 대한 원재료 가격 인상을 점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다만 식품업계가 국제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라 최근 가공식품 가격이 인상됐다는 설명을 내놓고 있어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악영향이 가할 수 있다.

국내 식품업계를 대표하는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지난 1일 “내수 침체와 고환율·고유가 등 국제 정세 악화, 이상 기후로 인한 국제 원재료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라며 “최근 환율, 원자재, 경영비 상승에 따른 불가피한 (가격인상) 결정”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수출과 수입에 큰 영향을 끼치는 환율이 안정된다는 점에서 물가가 서서히 내려갈 것이란 전망도 있다. 지난해 12월 계엄령이 선포됐을 당시 환율은 1440원대로 급등했으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발표된 이날 환율 종가는 1434.1원을 나타냈다.

다른 유통업계 관계자는 “결국 소비심리가 얼마만큼 회복하느냐의 문제”라며 “수출 위주로 사업을 펼치는 뷰티, 식품업계가 상호관세의 영향을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겠지만 내수 위주의 업체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