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메리츠도 포기' MG손보 정리 방식 고심…"계약 이전 유력"
금융당국, 5대손보사 실무진과 회의 “늦지않게 실현가능한 방안 마련” 보험업계 “손실부담계약, 자본건전성 악화할 것”
지난달 노동조합의 반발로 메리츠화재가 MG손해보험의 인수를 포기한 가운데, 금융당국과 예금보험공사가 MG손보의 정리 방식을 두고 여러 안을 고심 중이다.
3일 금융당국은 MG손보의 처리방안을 놓고 “제한적 선택지 중 법과 원칙에 부합하면서 실현가능한 방안을 늦지 않게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또한, 처리 방식에 대해서 확정된 바가 없다며 추측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MG손보는 2022년 4월 금융위원회가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된 후, 예보가 금융위의 위탁을 받아 매각을 진행해왔다. 여러 차례 공개 매각을 추진했지만 MG손보의 자본건전성 악화 등 이유로 실패했다.
최근엔 메리츠화재가 인수합병(M&A) 방식이 아닌 자산부채이전(P&A) 방식으로 인수를 추진했으나, 노조의 반대로 지난달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반납하며 결국 인수를 포기했다.
금융당국은 제3자 매각을 비롯해 청산, 계약이전 등 선택지 중 최소비용 원칙에 따라 매각을 추진할 방침이지만, 업계는 계약 이전 방식이 유력할 것이라 보고 있다.
MG손보는 경영악화로 지속해서 자본건전성이 악화하고 있어 매수자가 자본 조달에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MG손보의 지난해 말 기준, 자본건전성 지표인 새 지급여력비율(K-ICS, 킥스)은 4.1%(경과조치 전 3.4%)으로 보험업법상 최소 기준인 100%를 밑돌았다.
2023년 말 기준 64%(76.9%)에서 61%p가량 떨어진 수치다.
수익성 지표 또한 악화했다. 지난해 143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해 전년 동기(837억원 손실) 대비 적자 폭이 커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원매자가 없어 제3매각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며, 청산이 이뤄질 경우 124만명의 계약자가 피해를 볼 수 있다. 청산 절차도 고려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일부 영업 현장에선 이를 이용해 신규 계약을 유도하는 등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최근 금융당국이 5대 손해보험사(메리츠·삼성·현대·DB손보·KB손보) 실무진과 만나 계약이전 여력이 있는지 논의했다고 알려지면서, 계약이전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계약이전 방식 또한 손보사들이 이를 수용할지, 만약 계약을 인수하면 어떤 방식으로 나눠가질 것인지 등의 문제도 남아있다. MG손보의 부실 계약을 떠안아 자본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부실 보험 계약을 이전받으면 손실 부담 계약 또한 이전받게 되는데, 이를 인수한 보험사는 자본건전성 악화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며 “이사회의 승인을 받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당국도 이를 강제할 수 없어 청산과 계약이전 가능성 모두 열어 두고 방안을 고심 중이지만 쉽게 해결 방안이 나오진 않을 것”이라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재매각을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투데이 박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