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채널계 멀티 클라우드 체계 구축
케이뱅크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업해 뱅킹(은행) 시스템에 애저(Azure) 클라우드를 채널계에 도입, 은행권 최초로 채널계 멀티 클라우드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고 13일 전했다.
채널계는 애플리케이션(앱) 접속과 조회·이체, 상품 가입 등 앱에서 이뤄지는 모든 거래를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여러 뱅킹 시스템 중 하나다. 앞서 케이뱅크는 2023년 채널계에 아마존웹서비스(AWS) 클라우드를 첫 적용했다.
인터넷은행의 고객 접점은 앱에서 형성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복수의 기업이 제공하는 클라우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 클라우드 체제는 트래픽이 분산돼 효율성과 안전성이 뛰어나 안정적인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이 된다고 알려졌다.
케이뱅크는 AWS와 Azure 클라우드를 모두 사용하는 멀티 클라우드 체계를 구축했다. 케이뱅크는 멀티 클라우드 체계 구축으로 채널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 만큼 보다 안정적인 뱅킹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멀티 클라우드 체계는 케이뱅크의 사내부서가 기술 내재화를 통해 직접 관리할 예정이다.일반적으로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기업(MSP)이 외주로 담당하는 경우가 많지만, 케이뱅크는 MSP 없이 클라우드 기술 숙련도가 높은 사내 전문인력이 직접 관리한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아마존에 이어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해 은행권 최초로 멀티 클라우드 체계를 도입했다”며 “앞으로 기존 데이터센터(IDC) 주센터와 2개의 클라우드를 삼중화로 함께 운영하며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뱅킹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