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10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주가 반등 영향은
2017년 9조 3000억원 이후 7년만
삼성전자가 주주가치 제고 등 목적으로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다. 2017년 9조 3000억원 자사주 매입 이후 7년 만이다. 최근 ‘사만전자’를 기록하는 등 주가가 내림세를 이어가며 강한 주가 방어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사회를 열어 앞으로 1년간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분할 매입하는 계획을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이 중 3조원의 자사주는 3개월 이내에 사들여 전량 소각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18일부터 내년 2월 17일까지 장내 매수 방식으로 매입해 소각할 계획인 자사주는 보통주 5014만4628주, 우선주 691만2036주다. 나머지 7조원 규모의 자사주에 대해선 자사주 취득을 위한 개별 이사회 결의 시 주주가치 제고 관점에서 활용 방안과 시기 등에 대해 다방면으로 논의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결정은 최근 실적 부진에 이어 트럼프 행정부 재집권에 따른 미·중 갈등 심화와 반도체 업황 악화 전망 등이 겹치며 주가 내림세를 피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올해 들어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부회장)과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부회장) 등의 경영진이 자사주를 대거 사들이며 책임 경영에 나섰지만, 주가는 내림세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14일 삼성전자는 전날보다 1.38%(700원) 내린 4만9900원에 마감했다. 삼성전자 종가가 4만원 선으로 떨어진 것은 2020년 6월 15일 이후 처음이다. 5만600원으로 장을 마친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52주 신저가를 경신한 것이다. 다음날엔 외국인의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힘입어 6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해 5만원대를 회복했다.
삼성전자는 2015년 10월 중장기 주주환원 가이드라인(지침)을 발표하면서 11조 4000억원(약 1000억달러) 규모의 특별 자사주 매입·소각 프로그램을 시행한 바 있다. 2017년엔 9조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으며 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의 50%도 소각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삼성전자의 발행 주식 수는 2015년 말 대비 보통주는 12.4%, 우선주는 20.1% 감소하며 주당 가치가 높아졌으며 주가도 2015년 말 대비 2배 이상 상승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조송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