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크리더탐구] ④조병규 우리은행장, 업계 최초 오디션 통과한 ‘영업통’

2024-09-26     신수정 기자
조병규 우리은행장이 10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 참석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은행들이 매년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고, 비대면 등 디지털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등 최근 은행업권의 성장이 돋보인다. 이같은 성장 이면에는 은행업을 이끄는 최고경영자(CEO)들의 활약이 뒷받침된다. 파이낸셜투데이는 각 은행마다 현 은행장들의 지나온 발자취와 임기 동안의 경영 실적을 짚어봤다. (편집자주)

조병규(59) 우리은행장은 서울 관악고, 경희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92년 우리은행 입행을 시작으로 32년 경력의 대부분을 우리은행에서 쌓은 인물이다. 금융권에선 처음으로 오디션 형식을 도입해 선임된 행장이란 점과 함께 ‘영업통’의 면모를 드러내며 능력은 입증했지만,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회장의 부당 대출 사건은 그의 연임에 장애물로 작용할 전망이다.

조 행장의 이력을 보며, 2011년 우리은행 상일역 지점장을 시작으로 ▲본점기업영업본부 지점장(2012년) ▲대기업심사부장(2014년) ▲전략기획부장(2016년) ▲강북영업본부장(2017년) ▲준법감시인, 집행부장행장보(2020년) ▲경영기획그룹 집행부행장(2020년) ▲기업그룹 집행부행장(2022년) 등을 역임했다. 이후 지난해 3월 우리금융캐피탈 대표이사로 선임된 뒤 당해 7월 은행장 자리에 올랐다. 

◆기업금융 전문가 조병규, 취임 첫 반기 성적표서 ‘꼴찌’ 탈출 성과

우리금융그룹 내 조 행장은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함께 그룹 목표인 ‘기업금융 명가(名家) 부활’을 함께 실현시킬 적임자로 지목되며 은행장으로 선임됐다. 동시에 금융권 최초로 ‘오디션’ 형식을 도입해 선임된 첫 은행장으로 임기를 시작하며 업계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지점장 초임지였던 상일역지점을 1등 점포로 만들고, 본점 기업영업본부 기업지점장 시절인 2013년과 2014년에 전체 은행 성과평가기준(KPI) 1위와 2위를 수상하는 등 ‘영업통’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면서 이러한 기대감에 무게가 실렸다는 해석이다. 

조 행장은 취임 당시 “제가 은행에서 가장 많이 했던 부분이 기업금융”이라며 자신의 강점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러한 의지를 기반으로 우리은행 기업대출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인다. 조 행장 취임 이후 지난해 2분기 161조원에서 4분기 170억원, 올해 1분기 175억원, 2분기 183억원을 기록했다. 

기업금융 확대에 힘쓰며 일시적이지만, 취임 첫 반기 성적에서 시중은행 ‘만년 꼴찌’ 타이틀을 지웠다. 지난해 상반기(1~6월) 우리은행 당기순이익은 1조6753억원으로 4대 은행 중 3위를 차지했다. 

◆우리은행 준법감시체제 고도화 장본인, 금융사고로 내부통제 ‘발목’

조 행장은 선임 당시 우리금융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로부터 우리은행의 준법감시체제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킨 인물로 호평을 받기도 했다. 우리은행 준법감시인을 지내면서 2년간 준법감시체계를 확대 개편했다.

2019년 자금세탁방지부를 자금세탁방지센터로 승격, 국내은행 최초로 최초로 고객바로알기(KYC)제도를 도입해 금융거래의 투명성을 강화했다. 이어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준법지원부를 준법감시실로 확대하고, 그룹장 직속의 준법감시팀을 신설하는 등 조직을 변화시켰다. 

우리은행의 준법감시체제를 고도화시킨 조 행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도덕성’을 강조하며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와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강조했다. 그는 “제도적 규제도 중요하지만 각 개인이 도덕성에 근거해 업무에 임할 수 있어야만 우리 조직의 평판과 신뢰가 확립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지난달 금융감독원 조사에서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의 친인척 부정대출이 적발되면서 조 행장이 이끄는 우리은행의 내부통제 신뢰감이 추락했다. 나아가 금융당국이 현 경영진에 대한 책임론을 언급하면서 올해 연말 임기 만료를 앞둔 조 행장의 거취도 불투명해졌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우리금융과 우리은행의 현 경영진에 대한 책임론을 언급했다. ‘경영진은 몰랐다’는 식의 해명이 금융당국의 심기를 건드려 이 같은 책임론으로 번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