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티메프 여행상품’ 관련 합동 간담회 개최

2024-08-27     신용수 기자
티메프 피해 판매자와 소비자들이 모인 ‘티메프 피해자 연합’은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티몬 사무실 앞에서 ‘검은우산 집회’를 열었다. 사진=신용수 기자

문화체육관광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가 27일 티몬·위메프(티메프) 여행상품 관련 관계부처 합동 업계 간담회를 열고 여행과 여신업계 의견을 청취하고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여행사와 신용카드사, 전자지급결제대행사(PG사) 등 업계 관계자를 비롯해 금융감독원, 한국소비자원 등 관계기관도 참석했다.

정부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여행상품 소비자 피해액 분담방안에 대한 여행사와 신용카드사, 전자지급결제대행사(PG사) 의견을 청취하고 피해 소비자를 신속하게 구제하기 위해 각 업계의 협조를 요청했다.

한국소비자원이 여행상품 집단분쟁 조정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도록 당부하고 관계부처와 긴밀하게 협조해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노력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티몬·위메프 정산지연 피해 영세 소상공인이 다른 이커머스 플랫폼 입점에 필요한 지원에 나선다.

중기부는 추석 전 지원을 위해 기존 선정된 이커머스 플랫폼 중 판매제품 범위가 넓은 곳과 소상공인 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9개 플랫폼과 협업을 추진한다. 중기부는 최대 1만개사에 마케팅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가격 할인쿠폰 발급, 광고비로 활용할 수 있는 포인트 지급, 소상공인 전용 기획전 행사 등을 제공한다.

한편 금융감독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티메프가 판매 업체에 지급하지 못한 미정산액은 1조3000억원, 피해 업체 업체는 4만8124개로 추산됐다. 미정산액이 1000만원 이하인 업체는 4만 3493곳, 1억원 이상인 업체는 981곳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디지털·가전 업체 피해가 3708억원(29%)으로 가장 컸다. 상품권(3228억원·25.2%), 식품(1275억원·10%), 생활·문화(1129억원·8.8%) 부문 순이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