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화학, 수익성 악화에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 하향 조정
이수화학의 신용등급 전망이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됐다. 한국기업평가는 외형 축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 재무지표가 악화돼 계열 재무지원 부담이 지속된 점, 실적 개선폭이 제한적일 전망인 점 등을 들어 이같이 평가했다.
20일 한국기업평가 기업1실에 따르면 앞서 18일 이수화학의 신용등급은 ‘BBB’로 유지하되 등급전망은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변경했다.
등급전망 변경과 관련 우선적으로 외형 축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요인을 언급했다. 이수화학은 올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약 5065억8872만원, 영업손실 약 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손실을 대폭 줄였으나 여전히 적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평균유가는 배럴당 82.1달러(약 11만 3519원)로 전년 대비 14.7% 하락했고, 이에 따라 이수화학의 석유화학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7.3% 하락한 1조 3,816억원을 기록하며 외형이 축소됐다고 한기평은 밝혔다.
또한, 이수화학은 전방산업 경기 및 원재료 가격 변동에 노출돼 2023년 별도기준 -32억원의 영업현금흐름(OCF)를 기록하며 영업창출능력이 크게 저하됐다.
지난해 말, 올해 1분기 말 기준 부채비율은 각각 114.6%, 108.3%였고, 차입금의존도는 41.2%, 36.5%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한기평은 “이수건설, 이수엑사켐 등 계열사 차입금에 대한 지급보증 규모는 지난해 말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각각 1665억원, 1620억원으로 계열 재무지원에 대한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실적 개선폭이 제한적일 전망으로 악화된 재무안전성 개선여부가 불투명하다는 게 한기평 시각이다.
이수화학의 악화된 영업현금창출력을 고려할 때, 확대된 재무부담이 단기간 내 완화되기 어렵다고 봤다. 또한, “부동산 경기 회복이 지연되며 이수건설 등 계열사 지급보증 부담이 지속될 전망으로, 계열에 대한 재무부담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재무 전망에 있어 유가, 연성알킬벤젠(LAB) 업황, 투자 계획이 중요 요소로 꼽힌다.
한기평은 “올 3분기 드라이빙 시즌 및 하반기 금리 인하에 따른 수요 회복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올해 연평균 배럴당 80달러(11만 640원)~100달러(13만 8280원) 수준의 고유가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큰 폭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던 2023년 대비 글로벌 LAB 수요는 반등할 것으로 전망되나, 큰 폭의 수요회복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자본적 지출에 대해선 “사업계획을 감안한 자본적 지출 규모는 2024~2026년 연평균 약 134억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영업현금흐름 대비 대규모 자본적지출(Capex) 투자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